어떤걸 찾으시나요?

이건 어때요?

BEST

추천 검색어

  • #안동 맛집

  • #암산얼음축제

  • #전통한옥

  • #안동 특산품

  • #안동 관광명소

  • #농촌체험

  • #하회마을

  • #스탬프투어

  • #안동국제탈춤페스티벌

  • #유네스코세계유산도시

문화유산

시대를 넘나드는 전통과 가치를 간직한 안동의 소중한 문화유산

향교/서원/서당/재사

추원재
추원재
추원재
추원재
추원재
추원재
추원재
추원재

추원재

  • 주소

    안기2길 57-4(안기동 산 101-1)

  • 전화

상세설명
    • 분 류 : 사묘재실
    • 지 정 :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37호
    • 지정일 : 1973. 8. 31
    • 시 대 : 조선시대
    • 소재지 : 안동시 안기동 산101-1
    • 소유자 : 김봉재

    이 건물은 고려말 충신이며 효자인 상촌 김자수(桑村 金自粹)의 어머니인 일직 손씨의 묘소 아래에 있던 재사다. 김자수는 1351년(충정왕 3) 현 안동시 금곡동에서 태어났다. 1374년(공민왕 23) 문과에 급제하여 형조판서 지위에 올랐으나, 고려왕조가 망하자 절의를 지켜 은둔하였다. 태종이 형조판서로 제수하여 부르자 아들에게 관을 준비하고 뒤따르게하여 경기도 광군 오포면 추현에 이르러 자결하였다. 경기도 광주군 오포면 신련리에 신도비와 비각 그리고 묘소가 있다.
    원래 추원재는 월곡면 노산리 마을 어귀의 산기슭에 있었다. 상촌의 정효비각이 거리를 두고 마을의 내오산(內奧山) 아래에 있었으나 1973년 안동댐 수몰로 현 위치로 이건후에는 바로 재실 아래에 위치하게 되었다.
    정면 3칸, 측면 3칸으로 신실(神室)과 전실(온돌방)을 중심으로 그 좌우와 전방 3면에 각 1칸씩의 마루를 돌렸고 신실과 전실 벽은 개방하여 분합을 달았다. 구성은 특이하며 필각형 불발기 창을 가진 분합은 아랫쪽 머름중방에 얹어 안전하게 장치하였다. 변주는 모두 두리기둥이며 난간은 계자각이나 신실 양측칸에는 머름중방만을 꾸몄다. 보편적인 재실과는 특색을 달리한 특수한 건축형식이라 하겠다.

목록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