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떤걸 찾으시나요?

이건 어때요?

BEST

추천 검색어

  • #안동 맛집

  • #암산얼음축제

  • #전통한옥

  • #안동 특산품

  • #안동 관광명소

  • #농촌체험

  • #하회마을

  • #스탬프투어

  • #안동국제탈춤페스티벌

  • #유네스코세계유산도시

문화유산

시대를 넘나드는 전통과 가치를 간직한 안동의 소중한 문화유산

전적/유물

광산김씨 예안파 종가 소장 고문서
광산김씨 예안파 종가 소장 고문서

광산김씨 예안파 종가 소장 고문서

  • 주소

    와룡면 군자리길 21 (오천리 산 28-1)

  • 전화

상세설명
    • 분 류 : 문서
    • 지 정 : 보물 1018호 (1990. 3. 2)
    • 시 대 : 조선시대
    • 소재지 : 안동시 와룡면 오천리 산28-1

    이 문서는 안동 예안의 光山(光州) 김씨 예안파(金氏 禮安派)의 종가에 소장되어 있는 것들이다. 광산 김씨는 광주의 토성(土姓) 가운데 제일의 족세(族勢)를 자랑하는 가문으로, 고려 후기에 중앙의 관료로 진출하여 정당문학(政堂文學) 김연(金璉), 찬성사(贊成事) 사원(士元), 정당문학(政堂文學) 진 등과 같은 재상들을 배출하였다.
    광산 김씨가 여말선초에 안동으로 낙향하게 되는 하나의 계기는 순흥 안씨·안동 권씨 등과 혼인을 하여 이곳에 일정한 족적(族的)·경제적(經濟的) 기반을 가지게 된 결과이다.
    이들 가문은 16세기에 이르러 김연(金緣 1487∼1544)이 문과(文科)를 급제하여 강원감사(江原監司)·경주부윤(慶州府尹) 등 내외의 관직을 역임하면서 이언적(李彦迪)·권발(權撥) 등과 교유하면서 안동 지역에서 확고한 재지적 기반을 구축하게 됨에 따라 더욱 번성하였다.
    현재 광산김씨 예안파 종가에는 21대 600년간에 걸쳐 전래된 고문서 1,000여점이 보관되어 있는데, 이중 문화재로 지정된 것은 7종 429점이다. 이들을 간단히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교지(敎旨)·교서(敎書)·교첩(敎牒)·차첩(差帖) 82점 : 1481년(성종 12) 생원(生員) 김효로 (金孝盧)의 장사랑(將仕郞) 임명장을 비롯하여 그의 후손들이 1893년(고종 30)까지 받은 각종 임명장

    1. 호적단자(戶籍單子) 43점(點) : 1301년(충렬왕 17)의 김연(金璉)·김진의 호구단자(戶口單 子)를 위시하여 1897년(광무(光武) 1) 까지의 김씨 일족의 호적관계 자료

    2. 입양(入養)·입안문서(立案文書) 4점 : 1480년(성종 11) 김효로(金孝盧)의 후계 입양(後繼 入養)·입안문서(立案文書)를 비롯하여 1627년(인조 5)까지의 입양에 관련된 각종 문서

    3. 소지(所志) 91점 : 1567년(명종 22) 김부필(金富弼)이 현감에게 올린 소지를 비롯하여 1900년(광무 4) 까지의 각종 소지(所志)

    4. 분재기(分財記) 45점 : 1429년(세종11) 김무(金務)의 허여문기(許與文記)를 비롯하여 1731 년(영조 7)까지의 각종 노비9奴婢)·전답(田畓)에 대한 분재기

    5. 명문(明文) 154점 : 1477년(성종 8) 이후 1909년(융희 3)까지의 가옥(家屋)·전답(田畓)·노 비(奴婢) 등의 매매에 대한 문서

    6. 예상지(禮狀紙) 10점 : 1562년(명종 17) 이후 1886년(고종 23)까지의 혼사(婚事)에 관련된 각종 예상지(禮狀紙)

    이들 고문서들은 여말선초에서 구한말에 이르기까지의 각종 자료들로서 고문서 연구 및 당시의 정치·경제·사회·가족제도 등을 알 수 있는 역사적 사료로서 귀중한 자료들이다.

숭원각
  • 오천유적지 내 유물전시관인 숭원각 내에 전시되어 있다.

목록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