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암 이현보 종손가 소장 문적
-
주소
옥정동 439-6
- 전화
이 문적은 조선의 학자 농암 이현보(聾巖 李賢輔 1467∼1555)의 종손가에 소장되어 있는 고문서(古文書)이다. 이현보는 본관은 영천(永川), 자는 비중, 호는 농암(聾巖)으로 일찍이 생원시에 합격하고 1498년(연산군 4) 식년시(式年試)에서 병과(丙科) 20인으로 급제하였다.
이후 문헌관으로 입사하여 정언(正言)·지평(持平)·안동부사(安東府使)·성주목사(星州牧使)·승지(承旨)·부제학(副提學)·형조참판(刑曹參判) 등을 역임하였다. 그는 강호가도(江湖歌道)의 창시자로 유명한 인물로서 문학 작품으로는 농암가(聾巖歌)·춘면곡(春眠曲)·어부사(漁父詞) 등이 있다. 시호는 ′효절(孝節)′이고 예안의 분강서원(汾江書院)에 제향(祭享)되었으며, 저서로는 『농암집(聾巖集)』이 있다.
敎旨 23점, 전적(典籍) 7종 8책 그리고 회화(繪畵) 1점인데,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교지(敎旨) 23점 : 1498년(연산군 4) 이현보의 문과 홍패를 위시하여 1560년(명종 15)까지의 그의 증조(曾祖) 이파(李坡), 아들 이문량(李文樑)의 각종 임명장
애일당구경첩(愛日堂具慶帖) 2책 : 1508년(중종 3)에서 1526년(중종 21)까지 김안국(金安國)을 위시한 여러 유학자들이 이현보에게 증정한 그림 및 송축시(頌祝詩)
애일당구경별록(愛日堂具慶別錄) 1책 : 1519년(중종 14)에서 1551년(명종 6)까지의 이현보의 양로연시(養老宴詩) 및 국문가사(國文歌詞)
계사구노회첩(癸巳九老會帖) 1첩 : 1533년(중종 28)에 결성한 계회첩(契會帖)으로 뒷면에 속구노회첩(續九老會帖)이 있다.
분천강호록(汾川講好錄) 1책 : 명종(明宗) 연간(1545∼1567)에 이문량(李文樑)이 편찬
농암유교초(聾巖遺橋草) 1책 : 명종 연간(1545∼1567)에 이현보의 유고(遺稿)를 초록한 책
정동 면예시일록(亭洞 緬禮時日錄) 1책 : 18세기 후반 이현보(李賢輔)의 묘를 이장할 때의 일기
상음비사(常陰比事) 1책 : 갑인자(甲寅字)로 간행된 것으로 이현보가 하사받은 책
은대글회도(銀臺契會圖) 1점 : 1534년(중종 29) 이현보가 동부승지(同副承旨)로 재직할 때 도승지 남세건(都承旨 南世楗) 등 10명이 참석한 글회도(契會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