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낭굿
천왕굿이 끝나고 바로 이어서 서낭굿이 시작되었다. 이 서낭굿은 서낭 대신 할배를 치하는 굿이다. 무녀는 여전히 제자리에 앉아있고, 다만 방향을 바꾸어 젯상을 향해 앉았다. 젯상은 이미 차려져 있었고, 조무는 향을 몇 개 더 꼽고, 초를 다시 갈았다. 서낭굿에서 썼던 제...
유암서원 에 대한 검색 결과입니다.
관광자원 검색결과 (111 / 143 페이지)
서낭굿
천왕굿이 끝나고 바로 이어서 서낭굿이 시작되었다. 이 서낭굿은 서낭 대신 할배를 치하는 굿이다. 무녀는 여전히 제자리에 앉아있고, 다만 방향을 바꾸어 젯상을 향해 앉았다. 젯상은 이미 차려져 있었고, 조무는 향을 몇 개 더 꼽고, 초를 다시 갈았다. 서낭굿에서 썼던 제...
서낭제
안동지방에 있는 대부분의 자연부락에서 매년 한 번씩 마을주민의 안녕과 농사의 풍년과 가축의 평안을, 기원하기 위하여 지내는 마을제사를 서낭제 또는 동제라고 부르고 있다. 이러한 마을제사는 미신으로 여겨져, 새마을 운동으로 많이 파괴되어 없어진 곳도 있으나, 매년 한 번...
서적, 문서류
옛문서와 서적을 과거 문화와 역사를 이해함에 있어서 그 기초가 되는 중요한 자료이다. 이러한 자료를 통해 당 시대를 살아간 생활인들의 숨김없는 생생한 자취를 찾을 수 있다. 더욱이 지방에 서 발간된 문서들은 그 지방과 직접 관련된 기록들이 많기 때문에 각 지방별로 생활...
비안공 구택
- 분 류 : 고가 - 지 정 : 경상북도문화재자료 제211호 - 지정일 : 1989. 5. 29 - 시 대 : 조선시대 - 소재지 : 안동시 풍산읍 소산리 224-3 이 건물은 세종 때 비안현감을 지낸바 있는 비북안공 김삼근(1419∼146...
안동의 음식문화
안동은 지형적으로 산이 많고 논보다 밭이 많은 관계로 고추, 마늘, 참깨 등의 농산물이 많이 생산된다. 따라서 안동지방의 음식은 양념이 많고 간이 세며 일반적으로 맵고 짠 것이 그 특징이라 할 수 있다. 김치를 담거나 찌개를 만들때면 으레이 고추가루와 마늘 등의 양념을...
안동권씨 병곡종택
- 분 류 : 사묘재실 - 지 정 : 경상북도문화재자료 제370호 - 지정일 : 1999. 12. 30 - 소재지 : 안동시 풍천면 가곡리 415 - 소유자 : 권종만 조선 전기 문신인 권주(1457∼1505)가 생전에 살던 집이다. 그는 성...
안동권씨 말산재사
- 분 류 : 사묘재실 - 지 정 : 경상북도문화재자료 제323호 - 지정일 : 1996. 12. 5 - 시 대 : 조선시대 - 소재지 : 안동시 북후면 두산리 649 - 소유자 : 안동권씨도촌문중 이 건물은 안동권씨 도촌파문중의 선조인...
달개 소리(집터다지기)
- 문화재분류 : 민요 상여소리에 이어 달구소리도 들어보자고 했더니, 조금 부르다가 길게 부르는 것이 좋지 안다고하여 멈추었다. 달개소리를 부탁했더니,여러 노래를 한꺼번에 하니 두서가 없다고 했다. 달개소리는 집터를 다지면서 부르는 노래이다. 앞소리꾼이 사설...
화상놀이의 유래와 내용
오전 10시경 제보자의 집을 찾아갔다. 마을 입구에 있던 할아 버님 한 분과 이 마을에 거주하는 조기여군과 합류되었다. 제보 자와는 이미 현지조사를 통해서 몇 차례 만난 분이고, 미리 안 내편지를 보냈기 때문에 쉽게 조사에 들어갈 수 있었다. 마을 개관에 대한 조사를 ...
청계 김진 영정
- 분 류 : 문서 - 지 정 : 보물 1221호 (1995. 7. 19) - 시 대 : 조선시대 - 소재지 : 안동시 임하면 천전리 280 이 그림은 1672년(선조 5)에 그려진 학봉 김성일(鶴峰 金誠一)의 부친인 청계 김진(1500∼1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