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산서당
- 분 류 : 서원 - 지 정 : 경상북도문화재자료 제49호(1985. 8. 5) - 시 대 : 조선시대 - 소재지 : 안동시 임동면 박곡리 산 769 - 수 량 : 1동 - 행태와 구조 : 목조와가 팔작지붕 이 건물은 숙종 때 대사헌을 ...
유암서원 에 대한 검색 결과입니다.
관광자원 검색결과 (112 / 143 페이지)
지산서당
- 분 류 : 서원 - 지 정 : 경상북도문화재자료 제49호(1985. 8. 5) - 시 대 : 조선시대 - 소재지 : 안동시 임동면 박곡리 산 769 - 수 량 : 1동 - 행태와 구조 : 목조와가 팔작지붕 이 건물은 숙종 때 대사헌을 ...
역동 유허비
- 분 류 : 건물 - 지 정 :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30호 - 지정일 : 1973. 8. 31 - 시 대 : 조선시대 - 소재지 : 안동시 와룡면 오천리 1227-2 - 소유자 : 우성구 이 비는 고려후기의 학자 우탁(禹倬)(12...
산성
- 소재지 :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가송리 - 높이 : 해발845.2m - 등산로 소요시간 : 3시간
와룡산
- 소재지 : 경상북도 안동시 와룡면 주계리 - 높이 : 해발460.8m - 특징 안동와룡산은 우리나라에서 보기 드물게 거석문화(巨石文化)가 발달하여 구전자원(口傳資源)이 관광자원화된 곳으로서 산의 형세가 천하를 호령하고 돌아온 용이 편히 누운 자세를 취하고...
천등산
- 소재지 : 경상북도 안동시 서후면 태장2리 - 높이 : 해발575.5m - 유 래 천등산은 옛적에는 대망산이라 불렀는데 신라 문무왕때 능인대사가 대망산 바위굴에서 도를 닦고 있던 중 스님의 도력에 감복한 천상의 선녀가 하늘에서 등불을 내려 굴안을 환하게 밝...
학가산
- 높이 : 해발882.0m - 소재지 : 경상북도 안동시 북후면 신전리 - 등산시간 : 4시간 소백산과 대치하며, 모양이 ‘날아가는 학과같다’하여 학가산이라 한다. 안동에서는 가장 높은 산(882m)으로 학가산성이 남아있고, 영남의 북부지방이 한 눈에 들...
황학산
- 소재지 : 경상북도 안동시 길안면 백자리 - 높이 : 해발782.2m
안동권씨 부정공파 종택
이 종택은 안동권씨 9세 백시의 다섯째 아우인 취정의 아들인 통의를 파조로 하는 부정공파의 종택이다. 파조의 14세손(시조로부터 24세)인 권익창에 의하여 지금의 터전에 자리를 잡았다. 부정공세로라는 현판을 지닌 구자형 와가이다. 권 기 승 목조와가 조선중기...
원호정사
이 정사(精舍)는 궁핍한 가운데 학업에 정진하여 가문을 일으킨 교리(校理) 이만현(李晩鉉, 1832~1911) 사형제(四兄弟)의 면학정신과 우애효성을 기리고, 사형제(四兄弟) 후손들의 효우돈목을 위하여 1977년 후손들의 성력(誠力)으로 건립하였다. 이 장 환 목조...
화악정
‘화악’이란 꽃받침을 의미한다. 화악정은 입향조 임억숙의 증손인 야와 세명, 농와 근명, 석와 순명 삼형제분이 서식 강도하던 자리인데, 그들의 우애를 추모하고 기리기 위해 후손들이 1975년 건립한 정자다. 화악정 현판은 임병진이 썼다. 임씨문중 목조와가 197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