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양조씨(감천산골)
고려 고종때 첨의중서사를 지낸 조지수를 시조로 하며, 그 손자 양기가 충렬왕때 김방경 휘하에 서 부원수로 일본 정벌에 공을 세웠고, 충숙왕때 겨우 약관으로 여진에 붙잡혀 간 관, 민 160여호 를 쇄환하고, 공민왕때 유인우를 도와 몽고로부터 쌍성총관부를 회복, 홍건적 ...
고산정 에 대한 검색 결과입니다.
관광자원 검색결과 (113 / 146 페이지)
한양조씨(감천산골)
고려 고종때 첨의중서사를 지낸 조지수를 시조로 하며, 그 손자 양기가 충렬왕때 김방경 휘하에 서 부원수로 일본 정벌에 공을 세웠고, 충숙왕때 겨우 약관으로 여진에 붙잡혀 간 관, 민 160여호 를 쇄환하고, 공민왕때 유인우를 도와 몽고로부터 쌍성총관부를 회복, 홍건적 ...
함안조씨
세조때 안동 운안동에 정착한 함안 조씨는 이 곳에 정착할 당시는 상당한 지체의 가문이었다. 이제, 그 가계의 뿌리를 더듬어 보면, 안동에 처음 정착한 조욱은 세종말년에 사마시에 합격하고 단종원년에 문과에 올라, 정자벼슬에 있다가 단종임금이 왕위를 빼앗기자, 비분강개하여...
횡성조씨
고려 광종때 한림학사를 지낸 조익을 시조로 하는 안동의 횡성 조씨는 처음 문경에 옮겨 살다 가, 다시 예천에 옮겼고, 사온서직당을 지낸 윤손의 손자 대춘이 예안에 사는 동지 권수익의 딸에 장가 듦으로 해서 중종때 예안에 옮겨 정착했다. 대춘의 아들 목이 이퇴계의 고족제...
흥해배씨
본래, 요람 신라의 6부의 하나인 한지부의 부장 지타를 원시조로 하느 경주 배씨는 신라 6성의 하나로, 우리나라에서 가장 뿌리 깊은 토족 성씨이기도 하려니와, 고려의 개국1등 공신인 배현경 을 중시조로, 대대로 고려에 벼슬, 13세기말~14세기초에 충렬왕~충선왕을 섬겨...
서낭굿
천왕굿이 끝나고 바로 이어서 서낭굿이 시작되었다. 이 서낭굿은 서낭 대신 할배를 치하는 굿이다. 무녀는 여전히 제자리에 앉아있고, 다만 방향을 바꾸어 젯상을 향해 앉았다. 젯상은 이미 차려져 있었고, 조무는 향을 몇 개 더 꼽고, 초를 다시 갈았다. 서낭굿에서 썼던 제...
서낭제
안동지방에 있는 대부분의 자연부락에서 매년 한 번씩 마을주민의 안녕과 농사의 풍년과 가축의 평안을, 기원하기 위하여 지내는 마을제사를 서낭제 또는 동제라고 부르고 있다. 이러한 마을제사는 미신으로 여겨져, 새마을 운동으로 많이 파괴되어 없어진 곳도 있으나, 매년 한 번...
서적, 문서류
옛문서와 서적을 과거 문화와 역사를 이해함에 있어서 그 기초가 되는 중요한 자료이다. 이러한 자료를 통해 당 시대를 살아간 생활인들의 숨김없는 생생한 자취를 찾을 수 있다. 더욱이 지방에 서 발간된 문서들은 그 지방과 직접 관련된 기록들이 많기 때문에 각 지방별로 생활...
비안공 구택
- 분 류 : 고가 - 지 정 : 경상북도문화재자료 제211호 - 지정일 : 1989. 5. 29 - 시 대 : 조선시대 - 소재지 : 안동시 풍산읍 소산리 224-3 이 건물은 세종 때 비안현감을 지낸바 있는 비북안공 김삼근(1419∼146...
안동의 음식문화
안동은 지형적으로 산이 많고 논보다 밭이 많은 관계로 고추, 마늘, 참깨 등의 농산물이 많이 생산된다. 따라서 안동지방의 음식은 양념이 많고 간이 세며 일반적으로 맵고 짠 것이 그 특징이라 할 수 있다. 김치를 담거나 찌개를 만들때면 으레이 고추가루와 마늘 등의 양념을...
안동권씨 병곡종택
- 분 류 : 사묘재실 - 지 정 : 경상북도문화재자료 제370호 - 지정일 : 1999. 12. 30 - 소재지 : 안동시 풍천면 가곡리 415 - 소유자 : 권종만 조선 전기 문신인 권주(1457∼1505)가 생전에 살던 집이다. 그는 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