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당종택
경당고택(敬堂古宅)으로 현재 경당 11대손인 성진(星鎭)이 살고 있다. 불천지위(不遷之位)인 경당공 조고비(祖考妣) 세 분의 기제사가 모셔질 때마다 후손들이 모두 모여든다. 종가 동북쪽에 사당이 있어서 경당 선조의 신주가 모셔져 있다. 입구자 형식의 영남 건축의 전형인...
유암서원 에 대한 검색 결과입니다.
관광자원 검색결과 (114 / 143 페이지)
경당종택
경당고택(敬堂古宅)으로 현재 경당 11대손인 성진(星鎭)이 살고 있다. 불천지위(不遷之位)인 경당공 조고비(祖考妣) 세 분의 기제사가 모셔질 때마다 후손들이 모두 모여든다. 종가 동북쪽에 사당이 있어서 경당 선조의 신주가 모셔져 있다. 입구자 형식의 영남 건축의 전형인...
내방가사
조선시대 중기부터 영남지방의 양반가문 부녀자들 사이에서 지어지고 불리워 왔는 내방가사는 ′영남대가내방가사′의 준말이며 ′규중가도′ 또는 ′규방가사′라고도 한다. 이러한 가사는 영남지방의 문헌에 많이 남아 있는데 대부분 작자와 연대가 미상이다. 노래의 내용은 봉건사회...
안동 죽전동 삼층석탑
- 지 정 : 경상북도유형문화재 제109호 - 소유자 : 국유 - 지정일 : 1979. 1. 25 - 소 재 : 안동시 풍산읍 죽전리 1139 - 규 격 : 총높이 2.98m - 형태 및 구조 : 화강석재탑 ...
안동 놋다리 밟기
- 분 류 : 놀이와 의식 - 지 정 : 시도무형문화재 제7호 - 지정일 : 1984. 12. 29 - 소재지 : 안동시 용상동 1109-4 이 놀이는 "동국세시기"에도 기록될 정도로 오랜 시기에 걸쳐 전승된 여성의 집단놀이이다. 수도재...
학가산 자연석탑
- 문화재분류 : 구비문학 안동시 서후면 자품동 천지부락 뒤에 우뚝솟은 학가산은 882m를 자랑하는 안동제일의 웅봉 으로 서 안동, 예천, 영주 3개시,군의 경계를 이루고 있다. 이 산에는 멀리 신라시대의 능인도사 가 10 여년간 수도한 능인굴이 있는데 아무리...
마곡서당
이 서당은 선조32년(1602)에 사림들의 공론으로 변계손(卞季孫)을 비롯한 일곱 분의 학덕을 기리기 위해 세웠던 서원이었다. 이 서원은 숭정7년(인조12, 1634)에 현 위치로 이건되었다. 숙종40년(1714)에 중수했다. 그러나 대원군 서원철폐령으로 훼철된 뒤 아...
은곡서당
조선시대의 학자 은곡 박진(朴璡:1477-1566)이 후진양성을 위해 1537년(중종 32) 건립한 서당으로, 1645년(인조 23) 유림에 의해 중건되었다. 서당에는 강당과 부속건물이 있는데, 강당은 정면 4칸, 측면 2칸의 一자형 평면을 이룬 단층기와 팔작지붕으...
운흥동오층전탑
이 탑은 통일신라시대의 전탑으로 높이가 8.35m이다. 이 곳은 옛 법림사라고 전하는데, 근처에 있는 당간지주가 옛 절터임을 뒷받침해 주고 있다. 탑신부는 길이 27.5m, 너비 12.5cm, 두께 6cm의 무문전을 사용하여 5층으로 쌓았으나 원래는 7층이었으며, 금동...
태자사지 귀부 및 이수
방형의 지대석 위에 귀부를 얹고 그 위에 이수를 올려놓았다. 용의 형상을 하였을 것으로 추측되는 귀부의 머리는 목 앞이 깨어져 없어졌고, 경사면에 위치하여 약간 아래로 미끄러져 내렸으며, 귀부머리가 서향을 하고 있다. 귀부는 方形의 지대석(地台石) 위에 귀부를 얹고...
퇴계태실
이 건물은 1454년(단종 2) 이황의 조부인 이계양(李繼陽)이 세운 건물로, 1501년 이황이 이 집 몸채 중앙에 돌출된 방에서 태어났다고 하여 퇴계태실로 부르게 되었다. - 규모 . 태실은 정면 7간 측면 6간의 홑처마 구조로서 안마당을 중심으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