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곡서당
조선시대의 학자 은곡 박진(朴璡:1477-1566)이 후진양성을 위해 1537년(중종 32) 건립한 서당으로, 1645년(인조 23) 유림에 의해 중건되었다. 서당에는 강당과 부속건물이 있는데, 강당은 정면 4칸, 측면 2칸의 一자형 평면을 이룬 단층기와 팔작지붕으...
고산정 에 대한 검색 결과입니다.
관광자원 검색결과 (117 / 146 페이지)
은곡서당
조선시대의 학자 은곡 박진(朴璡:1477-1566)이 후진양성을 위해 1537년(중종 32) 건립한 서당으로, 1645년(인조 23) 유림에 의해 중건되었다. 서당에는 강당과 부속건물이 있는데, 강당은 정면 4칸, 측면 2칸의 一자형 평면을 이룬 단층기와 팔작지붕으...
운흥동오층전탑
이 탑은 통일신라시대의 전탑으로 높이가 8.35m이다. 이 곳은 옛 법림사라고 전하는데, 근처에 있는 당간지주가 옛 절터임을 뒷받침해 주고 있다. 탑신부는 길이 27.5m, 너비 12.5cm, 두께 6cm의 무문전을 사용하여 5층으로 쌓았으나 원래는 7층이었으며, 금동...
태자사지 귀부 및 이수
방형의 지대석 위에 귀부를 얹고 그 위에 이수를 올려놓았다. 용의 형상을 하였을 것으로 추측되는 귀부의 머리는 목 앞이 깨어져 없어졌고, 경사면에 위치하여 약간 아래로 미끄러져 내렸으며, 귀부머리가 서향을 하고 있다. 귀부는 方形의 지대석(地台石) 위에 귀부를 얹고...
퇴계태실
이 건물은 1454년(단종 2) 이황의 조부인 이계양(李繼陽)이 세운 건물로, 1501년 이황이 이 집 몸채 중앙에 돌출된 방에서 태어났다고 하여 퇴계태실로 부르게 되었다. - 규모 . 태실은 정면 7간 측면 6간의 홑처마 구조로서 안마당을 중심으로 ...
임천서원
분 류 : 서원 지 정 : 홍교당 - 경상북도 기념물 제164호 시 대 : 조선 중기 조선 중기의 학자이며 명신인 학봉 김성일(1538-1593) 선생을 추모하기 위하여 조선 인조 12년(1634) 옥동에 건립. 임천서원은 1607년(선조 40...
서악사
건물로는 원통전과 요사채 2동이 있다. 주법당인 원통전 내부에 있는 불상은 근래에 제작한 것이고 탱화 6점은 보존 가치가 있는 유물로 평가되는데, 6점 중 3점은 1770년(영조 45)에, 1점은 1868년(고종 5)에 제작한 것이다. 또 법당 안에 있는 동종은 193...
두릉구택
- 분 류 : 고가 - 지 정 : 경상북도문화재자료 제259호 - 지정일 : 1992. 7. 18 - 시 대 : 조선시대 - 소재지 : 안동시 길안면 현하리 464 이 건물은 안동인근에서 현골 정부자로 알려졌던 동래정씨 석문공파(東萊鄭...
태사묘
분 류 : 사묘, 제단 지 정 : 경상북도기념물 15호 지정일 : 1974. 12. 10 소재지 : 안동시 북문동 24-1 시 대 : 조선시대 소유자 : 태사묘 관리 위원회 규 모 : 4,035㎡ 이 건물은 고려 건국에 공을 세...
어은정 및 재사
이 건물은 퇴계 이황 선생의 문하로서 후릉참봉을 지낸 어은 이용선생이 선조 3년(1570)에 창건한 것이다. 전체 3동으로, 어은정은 정면 3칸, 측면 2칸의 팔작지붕 기와집의 정자로서 이용의 호(號)에서 이름을 따왔으며, 함께 있는 재사는 정면 5칸, 측면 6칸의 ...
귀래정
- 분 류 : 누(정).각 - 지 정 : 경상북도민속자료 제17호 - 지정일 : 1985. 8. 5 - 규 모 : 정면 2칸, 측면 2칸, 배면 4칸의 T자형 팔작지붕 고성 이씨 안동 입향조 이증의 둘째 아들인 낙포 이굉이 지은 정자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