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애동 석조 비로자나불좌상
이 불상은 팔각연화대좌(八角蓮華臺座) 위에 결가부좌(結跏趺坐)한 비로자나상으로서 오랫동안 방치(放置)되어 얼굴부분의 마멸(磨滅)이 심하다.나발(螺髮)의 머리에 육계(肉喪)가 낮게 솟아 있으며 갸름한 얼굴에 이목구비(耳目口鼻)가 정연하다. 신체는 결가부좌한 좌세(坐勢)가...
유암서원 에 대한 검색 결과입니다.
관광자원 검색결과 (122 / 143 페이지)
마애동 석조 비로자나불좌상
이 불상은 팔각연화대좌(八角蓮華臺座) 위에 결가부좌(結跏趺坐)한 비로자나상으로서 오랫동안 방치(放置)되어 얼굴부분의 마멸(磨滅)이 심하다.나발(螺髮)의 머리에 육계(肉喪)가 낮게 솟아 있으며 갸름한 얼굴에 이목구비(耳目口鼻)가 정연하다. 신체는 결가부좌한 좌세(坐勢)가...
안동 서지리 성황당
건립연대는 미상이나 고대 거석문화의 흔적이라고 추정된다. 서갓마을 입구에 위치하는 이 첩석과 누석단은 마을의 안녕과 무병장수를 기원하기 위해 세운 동사로서, 지금까지 그 원형이 비교적 잘 보존되어 있다. 삼첩석과 이첩석은 청동기시대에 만들어진 거석문화 유적으로 추정...
묵계서원 및 안동김씨 묵계종택
이 건물은 보백당(寶白堂) 김계행(金係行, 1431-1517)선생과 응계(凝溪) 옥고(玉沽, 1382-1436) 선생을 봉향(奉享)하는 서원으로 숙종(肅宗) 13년(1687)에 창건(創建) 되었다. 보백당 선생은 조선 초기 성종(成宗) 때 행 대사성(大司成) 증 이조판...
용담사 무량전
무량전은 정면(正面) 4칸, 측면(側面) 2칸, 맞배지붕 겹처마 익공집으로 극히 검소함을 보여주는 건물이다. 부속 암자로는 극락암(極樂庵)과 금정암(金井庵)이 있는데, 극락암은 절 서쪽 500m 쯤에 있고 금정암은 절 남쪽 800m 쯤에 있다. 금자암(金子庵)이라고도...
안동 대사동 모전석탑
이 탑은 현 대사동의 이름없는 절터에서 있는 전탑으로 건립년대는 알수 없으나 탑의 양식으로 보아 신라시대의 것으로 추정되며, 모전탑은 전탑보다 나중에 나온 양식인데, 석재를 벽돌과 같은 모양으로 가공하여 조성한 탑이므로 전탑 특유의 형식미가 느껴진다. 형식은 크게 두 ...
인금리 월오헌 고택
- 분 류 : 고가 - 지 정 : 경상북도문화재자료 제330호 - 지정일 : 1997. 9. 29 - 시 대 : 조선시대 - 소재지 : 안동시 풍천면 인금리 845 이 건물은 청송심민 전리판서공파 심명한(靑松沈氏 典理判書公派 沈明漢...
갈암 금양강도지
- 분 류 : 고가 - 지 정 : 경상북도기념물 제116호(지정일 : 1996. 12. 5) - 규 모 : 2,420㎡(정면 5칸, 측면 5칸의 口자형 목조와가) 퇴계 선생의 도학 적전이며 영남학파의 종장인 갈암 이현일의 강학지소이다. 그는 국정...
나소동 삼층석탑
이중기단의 삼층석탑으로, 옥신(屋身)에는 층마다 우주가 새겨졌고 옥개받침은 1.2층이 5단이고 3층은 4단이다. 초층옥신 한 쪽에 문 모양과 자물쇠가 새겨졌으며, 상륜부(相輪部)는 노반(露盤)과 복발(覆鉢)이 남아 있다. 고려시대에 건립된 것으로 추정되며 화강석으로...
작산정사 및 가창재사
건물은 송안군 이자수(松安君 李子修)의 유덕을 추모하기 위하여 1480년(成宗 11)에 퇴계 선생의 조부 3형제 분이 창건한 정사이다. 정사에는 앞면에 강당을 두고, 뒷면에 송안군의 위패를 봉안한 사당을 세웠다. 남향집으로 외삼문, 내삼문 및 사당이 남북으로 배치되어 ...
안동향교
안동향교는 6·25동란 때 불타서 그 창건 연대나 향교와 관련된 수많은 기록문서들이 모두 불타 문헌상으로는 고증이 불가능하다. 다만 고려시대의 웅부(雄府)요 조선 개국이후 많은 인물이 배출된 점으로 미루어 상당히 이른 시기에 개교된 것으로 추정된다. 특히 고려 말 공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