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산정사 및 가창재사
건물은 송안군 이자수(松安君 李子修)의 유덕을 추모하기 위하여 1480년(成宗 11)에 퇴계 선생의 조부 3형제 분이 창건한 정사이다. 정사에는 앞면에 강당을 두고, 뒷면에 송안군의 위패를 봉안한 사당을 세웠다. 남향집으로 외삼문, 내삼문 및 사당이 남북으로 배치되어 ...
유암서원 에 대한 검색 결과입니다.
관광자원 검색결과 (123 / 144 페이지)
작산정사 및 가창재사
건물은 송안군 이자수(松安君 李子修)의 유덕을 추모하기 위하여 1480년(成宗 11)에 퇴계 선생의 조부 3형제 분이 창건한 정사이다. 정사에는 앞면에 강당을 두고, 뒷면에 송안군의 위패를 봉안한 사당을 세웠다. 남향집으로 외삼문, 내삼문 및 사당이 남북으로 배치되어 ...
안동향교
안동향교는 6·25동란 때 불타서 그 창건 연대나 향교와 관련된 수많은 기록문서들이 모두 불타 문헌상으로는 고증이 불가능하다. 다만 고려시대의 웅부(雄府)요 조선 개국이후 많은 인물이 배출된 점으로 미루어 상당히 이른 시기에 개교된 것으로 추정된다. 특히 고려 말 공민...
긍구당
- 분 류 : 건물 - 지 정 :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32호(지정일 : 1973. 8. 31) - 시 대 : 조선시대 - 규 모 : 정면 3칸, 측면 2.5칸 이 집은 농암 이현보 선생 종택의 별당 건물이다. 농암 선생 종택의 상징적인 ...
남양사지 삼층석탑
남양사 터라고 전해오는 자리에 서있는 삼층석탑이다. 초층기단 위에 삼층석탑을 올린 형식이나 탑신 및 옥개가 단석으로 되어있고 탑신에는 우주가 각출되어 있으며 목발 이상의 상륜부는 결실되어 그 정확한 모습은 알 수 없고 탑의 양식으로 보아 신라 말기의 것으로 추정된다...
금곡재
금곡재의 전신은 금수서당이다. 이 서당은 이 마을에 세거해온 예천 임씨의 발의에 의해 1810년에 창건되었고, 1849년에 중수하여 오늘날의 규모로 확장되었다. 그 뒤 금수서숙으로 있다가 1928년에는 현재와 같이 입향조인 야은 임억숙공의 묘소를 수호하고 시제를 올리...
이태형 고택
- 분 류 : 고가 - 지 정 : 경상북도문화재자료 제47호 - 지정일 : 1985. 8. 5 - 시 대 : 조선시대 - 소재지 : 안동시 송천동 1226 이 건물은 1710년(숙종 36)에 건립된 고성이씨 지례종택이다. 입향조 이후장(李...
병산서원
병산서원은 조선시대의 대표적인 유교적 건축물로서, 류성룡과 그의 셋째아들 류진을 배향한 서원이다. 병산서원의 전신은 풍산현에 있던 풍악서당으로, 고려말부터 사림들의 학문의 전당으로 1614년 서애 류성룡 선생의 학덕을 기리기 위해 존덕사를 창건하여 위패를 봉안했다. 1...
가류동 박씨고가
- 문화재분류 : 건물(가옥) - 지정번호 : 경상북도민속자료 제15호 - 지정일 : 1973. 8. 31 - 시대 : 조선시대 - 수량 : 2동 - 소재지 : 안동시 풍산읍 괴정리 524-1 이 건물은 안동지방(安東地方)에 많이 분포되어 있었던...
금역당 사당 및 종가
- 분 류 : 건물 - 지 정 :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24호 - 지정일 : 1973. 8. 31 - 시 대 : 조선시대 - 소재지 : 안동시 송천동 1017 - 소유자 : 배재진 이 건물은 1558년(明宗 13) 황해도 관찰사를 역임...
시북정
순천김씨 후손 김동렬이 소유, 관리한다. 원래 조선 선조 때 호조참판을 지낸 신빈(申賓)이 주택을 지으면서 대청을 정자식으로 건립한 것이었다. 지금은 정침(正寢)은 없어지고 대청만 남아 있다. 후에 주택이 김종영에게 양도되면서 그의 아호를 따서 정자를 시북정이라고 하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