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산류씨 금계재사
금계재사는 조선 시대의 문신 류중영(柳仲郢)의 묘소를 돌보고 제사를 지내는 곳이다. 재사에서 남동쪽으로 약 450m 떨어진 언덕에 류중영의 묘소가 있다. 류중영은 학문과 어진 정치로 칭송을 받았던 류운룡과 임진왜란 때 혼란스러운 정국을 잘 이끌었던 명재상 류성룡 형제의...
산수정 에 대한 검색 결과입니다.
관광자원 검색결과 (125 / 143 페이지)
풍산류씨 금계재사
금계재사는 조선 시대의 문신 류중영(柳仲郢)의 묘소를 돌보고 제사를 지내는 곳이다. 재사에서 남동쪽으로 약 450m 떨어진 언덕에 류중영의 묘소가 있다. 류중영은 학문과 어진 정치로 칭송을 받았던 류운룡과 임진왜란 때 혼란스러운 정국을 잘 이끌었던 명재상 류성룡 형제의...
봉정사
봉정사는 신라 문무왕 12년(672)에 의상대사의 제자인 능인스님께서 창건하신 사찰이다. 천등산은 원래 대망산이라 불렀는데 능인대사가 젊었을때 대망산 바위굴에서 도를 닦고 있던 중 스님의 도력에 감복한 천상의 선녀가 하늘에서 등불을 내려 굴안을 환하게 밝혀 주었으...
기양서당
이 건물은 기봉 류복기(岐峯 柳復起 1555∼1617) 선생과 회헌 류의손(會軒 柳義孫 1398∼1450)선생의 위패를 봉안하고 제향하는 곳이다. 처음에는 기봉 선생이 후손들의 수학을 위하여 서당으로 세웠던 것을 후손들이 사우를 세워 향사하고 있다. - 규모 ...
전주류씨 무실종택
이 건물은 전주류씨 무실 대종택이다. 무실의 입향조는 전주류씨 시조 완산백 류습공의 6대손 류성선생이다. 무실문중은 퇴계학통으로 학문적 기틀을 마련하고 임진왜란 때 의병장으로 활약한 7대손 기봉 류복기 선생과 문규를 제정한 8대손 도헌 류우잠공이 그 기반을 확립하였다....
손홍량 유허비
이 비는 1748년(영조 24) 안동 사림이 발기하여 고려 명신 정평공(靖平公) 손홍량(孫洪亮 1287∼1379)의 유허(遺墟)에 세운 비이다. 그의 호는 죽석(竹石)이고 본관은 일직(一直)이며 시호(諡號)는 정평(靖平)으로 일직 손씨(一直 孫氏)의 시조이다. 고려...
개목사 원통전
- 분 류 : 보물 제242호 (1963. 1. 21) - 시 대 : 조선시대 - 소재지 : 안동시 서후면 태장2리 888 - 소유자 : 개목사(開目寺) - 규 모 : 3×3칸 - 형태 및 구조 : 목조단층 맞배집 개목사 원통전은 조선 ...
의성김씨 서지재사
이 건물은 학봉 김성일(鶴峰 金誠一)의 묘제(墓祭)를 위해 건립된 재사이다. 정확한 건립년대는 알 수 없다. 다만 재사에서 약 50m쯤 떨어져 있는 학봉신도비의 건립년대가 1634년(인조 12)으로 되어있는 것으로 볼 때 신도비보다 늦은 1700년대의 건축으로 추정된다...
안동권씨 소등재사
이 집은 안동 권씨 복야파 예조판서 권인(權靷)공의 종손인 권곤(權琨, 1427∼1502) 공의묘를 추호하는 제사이다. 원래 사찰이었는데 폐사된 것을 인수하여 1726년(영조 2)에 내당인 추원재를 세우고 이듬해인 1727년에 ㅁ자집 형태로 확장하여 재실로 사용해오고 ...
봉황사
- 지 정 : 경상북도유형문화재 제141호(1980. 6. 17) - 소재지 : 안동시 임동면 수곡리 563 - 소유자 : 봉황사 - 수 량 : 1동 - 형태 및 구조 : 목조단층 와가 이 건물은 원래 봉황사였던 황산사의 대웅전이다. 언제 개...
안동고택 이상루
고려 태조 때의 공신이며 안동김씨의 시조인 김선평(金宣平)의 단소(壇所)를 지키고 제사지내기 위한 곳이다. 김선평의 단소를 설립한 이후인 1707년(숙종 33)경 단소 동쪽 100보 내에 작은 집을 지었다가 1749년(영조 25)에 재사로 확장였다. 현재 ㅡ자형의 이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