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동고택 이상루
고려 태조 때의 공신이며 안동김씨의 시조인 김선평(金宣平)의 단소(壇所)를 지키고 제사지내기 위한 곳이다. 김선평의 단소를 설립한 이후인 1707년(숙종 33)경 단소 동쪽 100보 내에 작은 집을 지었다가 1749년(영조 25)에 재사로 확장였다. 현재 ㅡ자형의 이상...
산수정 에 대한 검색 결과입니다.
관광자원 검색결과 (126 / 143 페이지)
안동고택 이상루
고려 태조 때의 공신이며 안동김씨의 시조인 김선평(金宣平)의 단소(壇所)를 지키고 제사지내기 위한 곳이다. 김선평의 단소를 설립한 이후인 1707년(숙종 33)경 단소 동쪽 100보 내에 작은 집을 지었다가 1749년(영조 25)에 재사로 확장였다. 현재 ㅡ자형의 이상...
명옥대
- 분 류 : 누(정)·각 - 지 정 : 경상북도문화재자료 제174호 - 지정일 : 1986. 12. 11 - 시 대 : 조선시대 이 정자는 현종6년(1665)에 사림(士林)에서 옛날 퇴계(退溪) 이황(李滉, 1501∼1570) 선생이 후학들에...
함벽당
지금의 건물은 1862년(철종 13)에 고쳐 지은 것으로 정면 3칸, 측면 3칸의 홑처마 맞배지붕이다. 본 정자의 창건자는 명종(明宗) 때의 무인(武人)인 절충장군(折衝將軍) 강희철(康希哲)공이다. 그는 관직에서 은퇴한 뒤 함경당(涵鏡堂)이라 이름짓고 이곳에 유유지...
광흥사 응진전
- 지 정 : 경상북도문화재자료 제165호 (1985. 12. 30) - 소유자 : 광흥사(廣興寺) - 소재지 : 안동시 서후면 자품리 813 - 규 모 : 5×3칸 - 수 량 : 1동 - 형태 및 구조 : 목조단층와가 이 건물은 신...
죽헌고택
- 분 류 : 가옥 - 지 정 : 경상북도문화재자료 제164호 - 지정일 : 1985. 12. 30 - 시 대 : 조선시대 - 소재지 : 안동시 서후면 태장리 939 - 소유자 : 이병하 이 건물은 조선말 공조판서, 농상공부대신을 지내...
관물당
- 분 류 : 사묘재실 - 지 정 : 경상북도문화재자료 제31호(지정일 1985. 8. 5) - 시 대 : 조선시대 - 규 모 : 1동(목조단층와가 ) 선조(宣祖) 2년(1569) 강호고사(江湖高士)로 알려진 송암(松巖) 권호문(權好文, 1...
고성이씨 신도비
고성이씨 재사인 수다재(水多齋:경북유형문화재 24) 입구에 세워져 있다. 비는 조선 성종 때 영산현감을 지내고 이조참판에 증직된 이증(李增:1419-1480)의 행장을 기록한 신도비로, 1818년(순조 18)에 건립되었다. 비문은 조선 후기의 문신 한치응(韓致應)이 지...
고성이씨 재사
이 건물은 고성 이씨로 영산현감을 지내고 이조참판에 증직된 이증 선생과 정부인 경주 이씨의 묘제를 치르기 위한 재사로 1600년경에 건립되었다. 재사의 이름은 ′수다재′이다. 고성이씨 안동 입향조 이증(李增:1419∼1480)과 부인 경주이씨의 묘제(墓祭)를 지내기 ...
운천재사
지동재사(枝洞齋舍)는 운천(雲川) 김용(金涌, 1557-1620) 선생과 그의 부인(夫人) 이씨(李氏)의 묘소를 수호하기 위하여 인조17년(1639)에 건립한 것이다. - 규모 . 정면 4간, 측면 5간의 ′口′자형 팔작 및 박공집 - 시대구분 ...
지례예술촌
조선 숙종조에 대사간을 지낸 지촌 김방걸 선생의 종택과 지촌제청 및 지산서당이 임하댐의 건설로 수몰 위기에 처하자, 이곳에 이건하여 예술촌으로 조성하였다. 이곳은 예술인들의 창작활동과 연수 장소로 사용될 뿐 아니라, 전통생활체험장, 유교 연수원 등으로 활용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