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우정
- 분 류 : 누(정)·각 - 지 정 : 경상북도문화재자료 제37호 - 지정일 : 1985. 8. 5 - 시 대 : 조선시대 이 건물은 조선시대 병조참판(兵曹參判)을 지낸 정재(定齋) 류치명(柳致明) 선생의 강학지소(講學之所)로 1885년에 건립(...
고산정 에 대한 검색 결과입니다.
관광자원 검색결과 (127 / 146 페이지)
만우정
- 분 류 : 누(정)·각 - 지 정 : 경상북도문화재자료 제37호 - 지정일 : 1985. 8. 5 - 시 대 : 조선시대 이 건물은 조선시대 병조참판(兵曹參判)을 지낸 정재(定齋) 류치명(柳致明) 선생의 강학지소(講學之所)로 1885년에 건립(...
정재종택
이 건물은 대산학설(大山學說)을 승계한 퇴계학파의 거봉인 정재 류치명(定齋 柳致明 1777∼1861)선생의 증조부인 류관현선생이 1735년(영조 11)에 건립한 가옥이다. 이곳에서는 대대로 안동송화주(安東松花酒)를 빚어 제사를 지낼 때와 손님을 맞을 때 사용되었다. 언...
낙암정
- 분 류 : 누(정)·각 - 지 정 : 경상북도문화재자료 제194호 - 지정일 : 1987. 12. 29 - 시 대 : 조선시대 - 규 모 : 정면 3칸 측면, 2칸의 팔작지붕 낙암정은 깎아지른 듯한 절벽 위에 있어 절벽 아래로 낙동강 줄...
운곡서당
조선시대의 학자 금옹(錦翁) 김학배(金學培:1628~1673)와 적암(適庵) 김태중(金台重:1649~1711)이 후학을 위해 학문을 가르치며 많은 제자들을 길러낸 장소이다. 후세에 와서 김학배와 김태중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고 뜻을 기리기 위해 1761년(영조 37)...
안동권씨능동재사
이 집은 고려(高麗) 삼태자(三太師) 중의 한 분인 권행(權幸) 선생의 묘제(墓祭)를 위한 재사(齋舍)이다. 처음 효종(孝宗) 4년(1653)에 관찰사 우(沚)공이 종인(宗人)들과 논의하여 마루·고방 등 16칸을 건립하였고, 그후 숙종(肅宗) 9년(1683)에 관찰사 ...
풍산류씨 금계재사
금계재사는 조선 시대의 문신 류중영(柳仲郢)의 묘소를 돌보고 제사를 지내는 곳이다. 재사에서 남동쪽으로 약 450m 떨어진 언덕에 류중영의 묘소가 있다. 류중영은 학문과 어진 정치로 칭송을 받았던 류운룡과 임진왜란 때 혼란스러운 정국을 잘 이끌었던 명재상 류성룡 형제의...
봉정사
봉정사는 신라 문무왕 12년(672)에 의상대사의 제자인 능인스님께서 창건하신 사찰이다. 천등산은 원래 대망산이라 불렀는데 능인대사가 젊었을때 대망산 바위굴에서 도를 닦고 있던 중 스님의 도력에 감복한 천상의 선녀가 하늘에서 등불을 내려 굴안을 환하게 밝혀 주었으...
기양서당
이 건물은 기봉 류복기(岐峯 柳復起 1555∼1617) 선생과 회헌 류의손(會軒 柳義孫 1398∼1450)선생의 위패를 봉안하고 제향하는 곳이다. 처음에는 기봉 선생이 후손들의 수학을 위하여 서당으로 세웠던 것을 후손들이 사우를 세워 향사하고 있다. - 규모 ...
전주류씨 무실종택
이 건물은 전주류씨 무실 대종택이다. 무실의 입향조는 전주류씨 시조 완산백 류습공의 6대손 류성선생이다. 무실문중은 퇴계학통으로 학문적 기틀을 마련하고 임진왜란 때 의병장으로 활약한 7대손 기봉 류복기 선생과 문규를 제정한 8대손 도헌 류우잠공이 그 기반을 확립하였다....
손홍량 유허비
이 비는 1748년(영조 24) 안동 사림이 발기하여 고려 명신 정평공(靖平公) 손홍량(孫洪亮 1287∼1379)의 유허(遺墟)에 세운 비이다. 그의 호는 죽석(竹石)이고 본관은 일직(一直)이며 시호(諡號)는 정평(靖平)으로 일직 손씨(一直 孫氏)의 시조이다. 고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