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운동 모선루
분 류 : 가옥 지 정 : 중요민속자료 제180호(1984. 1. 10) 시 대 : 조선시대 이 집은 근재(近齋) 이전(李, 1486∼1531) 선생의 유덕(遺德)을 기리기 위해 묘소 아래에다 선조24년(1591)에 손자인 이호(李瑚)공이 세웠...
산수정 에 대한 검색 결과입니다.
관광자원 검색결과 (127 / 143 페이지)
만운동 모선루
분 류 : 가옥 지 정 : 중요민속자료 제180호(1984. 1. 10) 시 대 : 조선시대 이 집은 근재(近齋) 이전(李, 1486∼1531) 선생의 유덕(遺德)을 기리기 위해 묘소 아래에다 선조24년(1591)에 손자인 이호(李瑚)공이 세웠...
봉림사지 삼층석탑
통일신라시대의 사찰로 추정되는 봉림사(鳳林寺)가 있던 자리에 남아 있는 석탑이다. 2층기단 3층 석탑으로 통일신라시대에 건립된 것으로 추정되며 하층기단에는 안상(眼像)이 새겨져 있고, 초층석탑에도 문비가 조각되어 있다. 3층 옥개석(屋蓋石)은 없어졌고 상륜부(相輪部)는...
예안이씨 충효당
이 집은 예안 이씨 16대손으로 안동에 들어온 근재 이전공의 둘째 아들 풍은 이홍인(1528~1594)공의 후손들이 사는 집으로써 명종 6년(1551)에 지은 것으로 ′충효당이라′부른다. 기둥 위에는 납도리를 놓고 홑처마로 꾸몄으며 5량가이다. 대들보 위에는 동자주를...
오미동 참봉댁
분 류 : 가옥 지 정 : 중요민속자료 제179호 (1984. 1. 10) 소재지 : 안동시 풍산읍 오미리 248 시 대 : 조선시대 이 건물은 중종때 이조참판을 거쳐 삼도방백(三道方伯)을 지낸 청백리 허백당(虛白堂)의 12대손인 학암 김중휴(鶴庵...
농암 신도비
농암 이현보(聾巖 李賢輔 1467∼1555)는 1477년(세조 13) 인제현감 이흠(麟蹄縣監 李欽)의 아들로 태어났으며 시호(諡號)는 효절(孝節)이다. 1498년(연산군 4)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경상도관찰사·지중추부사(慶尙道觀察使·知中樞府事) 등의 관직을 역임하였다...
부라원루
이 건물은 고려(高麗) 중기부터 조선(朝鮮) 말기까지 시행해 온 역원공영제도(驛院公營制度)에 의하여 예안현(禮安縣)에 속했던 부라원(浮羅院)의 누(樓)로서 원사(院舍)는 없어지고 누각만 남아 있다. {영가지(永嘉誌)}에 의하면 안동지방에는 30여개 가까운 원(院)이 있...
성성재 종택
이 집은 조선 중기 학자인 성성재 금난수 선생의 종택이다. 선생의 본관은 봉화, 자는 문원으로 퇴계 선생의 제자이며 월천 조목 선생과는 처남매부지간이기도 하다. 명종 16년 생원시에 합격한 뒤 봉화현감 등 직을 지냈으며, 정유재란 때는 예안 수성장으로 활약하였다. 몰한...
호계서원
안동 지방의 대표적인 서원으로 1575년(선조 8) 지방사림들이 안동부(安東府) 동북쪽 여산촌(廬山村) 오로봉(五老峯) 아래에 있는 백련사(白蓮寺) 절터에 여강서원(廬江書院)을 세워 퇴계(退溪) 이황(李滉)의 위패를 봉안하고 도학을 강론하였는데, 1605년(선조 38)...
보백당과만휴정
보백당과 만휴정을 세우게된 유래. 옛날 고란동에 민씨라는 부자가 살고 있었다. 어느 날 한 과객이 묵어가기를 청했다. 민씨는 이를 쾌히 승낙했다. 그러나 하루만 묵겠다던 이 과객은 삼 년이 지나도록 떠나지 않았다. 어느 날 과객은 그동안 신세를 많이 졌다며 집터를 ...
서애대감과치숙
하회 류성룡과 치숙이라 불리며 주위의 놀림을 받던 그의 숙부 이야기. 하회에는 서애 선생이 치숙이라 불리며 주위의 놀림을 받던 숙부의 선견지명에 탄복했다는 비화가 전해진다. 어느 날 숙부가 찾아와 내일 저녁 승려가 찾아와 묵기를 청하면 완강히 거절하여 집 뒤 모암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