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목사 원통전
- 분 류 : 보물 제242호 (1963. 1. 21) - 시 대 : 조선시대 - 소재지 : 안동시 서후면 태장2리 888 - 소유자 : 개목사(開目寺) - 규 모 : 3×3칸 - 형태 및 구조 : 목조단층 맞배집 개목사 원통전은 조선 ...
고산정 에 대한 검색 결과입니다.
관광자원 검색결과 (128 / 146 페이지)
개목사 원통전
- 분 류 : 보물 제242호 (1963. 1. 21) - 시 대 : 조선시대 - 소재지 : 안동시 서후면 태장2리 888 - 소유자 : 개목사(開目寺) - 규 모 : 3×3칸 - 형태 및 구조 : 목조단층 맞배집 개목사 원통전은 조선 ...
의성김씨 서지재사
이 건물은 학봉 김성일(鶴峰 金誠一)의 묘제(墓祭)를 위해 건립된 재사이다. 정확한 건립년대는 알 수 없다. 다만 재사에서 약 50m쯤 떨어져 있는 학봉신도비의 건립년대가 1634년(인조 12)으로 되어있는 것으로 볼 때 신도비보다 늦은 1700년대의 건축으로 추정된다...
안동권씨 소등재사
이 집은 안동 권씨 복야파 예조판서 권인(權靷)공의 종손인 권곤(權琨, 1427∼1502) 공의묘를 추호하는 제사이다. 원래 사찰이었는데 폐사된 것을 인수하여 1726년(영조 2)에 내당인 추원재를 세우고 이듬해인 1727년에 ㅁ자집 형태로 확장하여 재실로 사용해오고 ...
봉황사
- 지 정 : 경상북도유형문화재 제141호(1980. 6. 17) - 소재지 : 안동시 임동면 수곡리 563 - 소유자 : 봉황사 - 수 량 : 1동 - 형태 및 구조 : 목조단층 와가 이 건물은 원래 봉황사였던 황산사의 대웅전이다. 언제 개...
안동고택 이상루
고려 태조 때의 공신이며 안동김씨의 시조인 김선평(金宣平)의 단소(壇所)를 지키고 제사지내기 위한 곳이다. 김선평의 단소를 설립한 이후인 1707년(숙종 33)경 단소 동쪽 100보 내에 작은 집을 지었다가 1749년(영조 25)에 재사로 확장였다. 현재 ㅡ자형의 이상...
명옥대
- 분 류 : 누(정)·각 - 지 정 : 경상북도문화재자료 제174호 - 지정일 : 1986. 12. 11 - 시 대 : 조선시대 이 정자는 현종6년(1665)에 사림(士林)에서 옛날 퇴계(退溪) 이황(李滉, 1501∼1570) 선생이 후학들에...
함벽당
지금의 건물은 1862년(철종 13)에 고쳐 지은 것으로 정면 3칸, 측면 3칸의 홑처마 맞배지붕이다. 본 정자의 창건자는 명종(明宗) 때의 무인(武人)인 절충장군(折衝將軍) 강희철(康希哲)공이다. 그는 관직에서 은퇴한 뒤 함경당(涵鏡堂)이라 이름짓고 이곳에 유유지...
광흥사 응진전
- 지 정 : 경상북도문화재자료 제165호 (1985. 12. 30) - 소유자 : 광흥사(廣興寺) - 소재지 : 안동시 서후면 자품리 813 - 규 모 : 5×3칸 - 수 량 : 1동 - 형태 및 구조 : 목조단층와가 이 건물은 신...
죽헌고택
- 분 류 : 가옥 - 지 정 : 경상북도문화재자료 제164호 - 지정일 : 1985. 12. 30 - 시 대 : 조선시대 - 소재지 : 안동시 서후면 태장리 939 - 소유자 : 이병하 이 건물은 조선말 공조판서, 농상공부대신을 지내...
관물당
- 분 류 : 사묘재실 - 지 정 : 경상북도문화재자료 제31호(지정일 1985. 8. 5) - 시 대 : 조선시대 - 규 모 : 1동(목조단층와가 ) 선조(宣祖) 2년(1569) 강호고사(江湖高士)로 알려진 송암(松巖) 권호문(權好文,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