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성이씨 신도비
고성이씨 재사인 수다재(水多齋:경북유형문화재 24) 입구에 세워져 있다. 비는 조선 성종 때 영산현감을 지내고 이조참판에 증직된 이증(李增:1419-1480)의 행장을 기록한 신도비로, 1818년(순조 18)에 건립되었다. 비문은 조선 후기의 문신 한치응(韓致應)이 지...
고산정 에 대한 검색 결과입니다.
관광자원 검색결과 (129 / 146 페이지)
고성이씨 신도비
고성이씨 재사인 수다재(水多齋:경북유형문화재 24) 입구에 세워져 있다. 비는 조선 성종 때 영산현감을 지내고 이조참판에 증직된 이증(李增:1419-1480)의 행장을 기록한 신도비로, 1818년(순조 18)에 건립되었다. 비문은 조선 후기의 문신 한치응(韓致應)이 지...
고성이씨 재사
이 건물은 고성 이씨로 영산현감을 지내고 이조참판에 증직된 이증 선생과 정부인 경주 이씨의 묘제를 치르기 위한 재사로 1600년경에 건립되었다. 재사의 이름은 ′수다재′이다. 고성이씨 안동 입향조 이증(李增:1419∼1480)과 부인 경주이씨의 묘제(墓祭)를 지내기 ...
운천재사
지동재사(枝洞齋舍)는 운천(雲川) 김용(金涌, 1557-1620) 선생과 그의 부인(夫人) 이씨(李氏)의 묘소를 수호하기 위하여 인조17년(1639)에 건립한 것이다. - 규모 . 정면 4간, 측면 5간의 ′口′자형 팔작 및 박공집 - 시대구분 ...
지례예술촌
조선 숙종조에 대사간을 지낸 지촌 김방걸 선생의 종택과 지촌제청 및 지산서당이 임하댐의 건설로 수몰 위기에 처하자, 이곳에 이건하여 예술촌으로 조성하였다. 이곳은 예술인들의 창작활동과 연수 장소로 사용될 뿐 아니라, 전통생활체험장, 유교 연수원 등으로 활용되고 있다. ...
권태사 신도비
이 비는 안동 권씨의 시조 태사 권행 공의 신도비이다. 현종 2년(1661) 권태사의 24세손의 권성원 공이 세운 이 비는 전체 높이 3.75m, 좌태(座台)의 귀부(龜趺)위에 비신(碑身)과 이수(?首)를 얹은 구조로서, 비문은 숙종 때 우위정을 역임한 미수 허목(15...
만운동 모선루
분 류 : 가옥 지 정 : 중요민속자료 제180호(1984. 1. 10) 시 대 : 조선시대 이 집은 근재(近齋) 이전(李, 1486∼1531) 선생의 유덕(遺德)을 기리기 위해 묘소 아래에다 선조24년(1591)에 손자인 이호(李瑚)공이 세웠...
봉림사지 삼층석탑
통일신라시대의 사찰로 추정되는 봉림사(鳳林寺)가 있던 자리에 남아 있는 석탑이다. 2층기단 3층 석탑으로 통일신라시대에 건립된 것으로 추정되며 하층기단에는 안상(眼像)이 새겨져 있고, 초층석탑에도 문비가 조각되어 있다. 3층 옥개석(屋蓋石)은 없어졌고 상륜부(相輪部)는...
예안이씨 충효당
이 집은 예안 이씨 16대손으로 안동에 들어온 근재 이전공의 둘째 아들 풍은 이홍인(1528~1594)공의 후손들이 사는 집으로써 명종 6년(1551)에 지은 것으로 ′충효당이라′부른다. 기둥 위에는 납도리를 놓고 홑처마로 꾸몄으며 5량가이다. 대들보 위에는 동자주를...
오미동 참봉댁
분 류 : 가옥 지 정 : 중요민속자료 제179호 (1984. 1. 10) 소재지 : 안동시 풍산읍 오미리 248 시 대 : 조선시대 이 건물은 중종때 이조참판을 거쳐 삼도방백(三道方伯)을 지낸 청백리 허백당(虛白堂)의 12대손인 학암 김중휴(鶴庵...
농암 신도비
농암 이현보(聾巖 李賢輔 1467∼1555)는 1477년(세조 13) 인제현감 이흠(麟蹄縣監 李欽)의 아들로 태어났으며 시호(諡號)는 효절(孝節)이다. 1498년(연산군 4)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경상도관찰사·지중추부사(慶尙道觀察使·知中樞府事) 등의 관직을 역임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