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천군자마을
군자마을은 안동시 와룡면 오천리에 위치하여, 일명‘외내’라고 불리운다. 안동댐 수몰로 사라지고, 2km 떨어진 지금 위치에 마을의 가옥과 정자 등을 그대로 옮겨왔다. 500~600년전 광산김씨 농수(農叟) 김효로(金孝盧)가 정착하면서 형성된 마을이다. 안동 부사였던 한...
유암서원 에 대한 검색 결과입니다.
관광자원 검색결과 (14 / 145 페이지)
오천군자마을
군자마을은 안동시 와룡면 오천리에 위치하여, 일명‘외내’라고 불리운다. 안동댐 수몰로 사라지고, 2km 떨어진 지금 위치에 마을의 가옥과 정자 등을 그대로 옮겨왔다. 500~600년전 광산김씨 농수(農叟) 김효로(金孝盧)가 정착하면서 형성된 마을이다. 안동 부사였던 한...
농암종택
농암종택은 낙동강 상류 청량산 자락, 안동시 도산면 가송리에 자리하고 있다. ′가송리′는 그 이름처럼 ′佳松-아름다운 소나무가 있는 마을′로 산촌과 강촌의 정경을 한꺼번에 만끽할 수 있는 서정적이고 목가적인 마을이다. 이웃에 도산서원, 국학진흥원, 오천유적지, 퇴계...
하회마을(덕여재)
- 대표자 : 류대근 - 객실 : 큰방, 작은방(아궁이난방), 별채 큰방(아궁이난방) 하회마을은 전래의 문화유산이 잘 보존된 마을이다. 마을전체가 중요 민속자료 제122호로 지정된 마을로서, 국보, 보물, 중요민속자료 등으로 지정된 여러 유형•무형문화유산들이...
하회마을(느티나무민박)
- 대표자 : 류효창 - 객실 : 큰방, 중간방, 작은방 하회마을은 전래의 문화유산이 잘 보존된 마을이다. 마을전체가 중요 민속자료 제122호로 지정된 마을로서, 국보, 보물, 중요민속자료 등으로 지정된 여러 유형•무형문화유산들이 잘 보존되어 있다.
봉정사
봉정사는 신라 문무왕 12년(672)에 의상대사의 제자인 능인스님께서 창건하신 사찰이다. 천등산은 원래 대망산이라 불렀는데 능인대사가 젊었을때 대망산 바위굴에서 도를 닦고 있던 중 스님의 도력에 감복한 천상의 선녀가 하늘에서 등불을 내려 굴안을 환하게 밝혀 주었으므로...
하회 남촌댁
분 류 : 가옥 지 정 : 중요민속자료 90호 (1979.01.23) 소재지 : 안동시 풍천면 하회리 624 시 대 : 조선시대 이 건물은 충효당과 함께 남촌을 대표하는 양반가옥이다. 1797년(정조 21) 형조좌랑 류기영이 건립한 것인데 1954...
하회 원지정사
분 류 : 가옥 지 정 : 중요민속자료 85호 (1979.01.23) 소재지 : 안동시 풍천면 하회리 712-1 시 대 : 조선시대 이 건물은 1573년(선조 6) 서애 류성룡(西厓 柳成龍)이 옥당(玉堂, 홍문관(弘文館)) 재직 중 부친상을 당하자...
강필효
학자. 초명은 세환, 자는 중순, 호는 해은·법은, 본관은 진주, 안동출신, 식의 아들. 윤 광소의 문인, 주자학을 깊이 연구하고 1800년(정조240부터 제자를 모아 가르치다가 1803년(순조3) 암행어사의 천거로 순릉참봉, 1824년에는 세마에 임명되었으나 모두 사...
방아 노래
- 문화재분류 : 민요 노래가 잠시 중단되었다. 방아노래를 들어보자고 했더니 쉽게 나서는 이가 없었다. 조사자가 "강태공의 조작방아"라는 대목을 하니 제보자가 나서서 이 노래를 불렀다. 노래의 형식이나 가락이 놋다리 밟기와 흡사했다. 실제로 방아를 찧으면서 부...
베틀 노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