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동 예안 동간재 고택
- 문화재분류 : 건물 - 분류 : 경상북도민속자료 5호 - 시대 : 조선시대 - 소재지 : 안동시 예안면 귀단리 산13-1 헌종 10년(1844)에 건립된 이 집은 안채와 사랑채로 구성되어 있다. 안채는 ′ㅁ′자형으로 이 지방의 전형적인 살림집의 모...
고산정 에 대한 검색 결과입니다.
관광자원 검색결과 (30 / 146 페이지)
안동 예안 동간재 고택
- 문화재분류 : 건물 - 분류 : 경상북도민속자료 5호 - 시대 : 조선시대 - 소재지 : 안동시 예안면 귀단리 산13-1 헌종 10년(1844)에 건립된 이 집은 안채와 사랑채로 구성되어 있다. 안채는 ′ㅁ′자형으로 이 지방의 전형적인 살림집의 모...
안동 서부동 송곡고택
- 분 류 : 가옥 - 지 정 : 경상북도민속자료 제4호 - 지정일 : 1973. 8. 31 - 소재지 : 안동시 도산면 서부리 174-186 - 시 대 : 조선시대 이 건물은 도산에 세거하는 평산신씨 송곡파의 종택이다. 19세기 중엽에 건립되...
광산김씨 긍구당 고택
- 분 류 : 건물(가옥) - 지 정 : 도유형문화재 제316호 - 지정일 : 2000. 4. 10 - 수 량 : 2동 - 소재지 : 안동시 와룡면 가야리 228 이 원래 영천 이씨 참봉공파 종택이었는데 광산 김씨 퇴촌파 김언기(1520...
경덕재
이 집은 광산김씨 담암 선생 고택으로 1833년에 중수 했으며, 영남지방 반가의 모습을 그대로 간직하고 있다. 경덕재에서 도보로 5분거리에는 그림처럼 펼쳐진 구담습지가 있어 생태환경을 연구하는데 도움을 주고 있다. . 연락처 054-853-2009 . 체험실 ...
의성김씨 학봉종택
조선 선조 때의 명신이며 학자인 학봉 김성일 선생의 유물을 보관한 곳인 운장각은 선생께서 남기신 서적·물품·친필기록 제초고 및 선조전래의 전적·문서와 후손들의 유품 등 500여점의 보물을 영구히 보존코자 건립하였다. - 규모 . 수량 : 5동 (3,458㎡)...
정재종택
이 건물은 대산학설(大山學說)을 승계한 퇴계학파의 거봉인 정재 류치명(定齋 柳致明 1777∼1861)선생의 증조부인 류관현선생이 1735년(영조 11)에 건립한 가옥이다. 이곳에서는 대대로 안동송화주(安東松花酒)를 빚어 제사를 지낼 때와 손님을 맞을 때 사용되었다. 언...
지촌종택
- 분 류 : 고가 - 지 정 : 경상북도문화재자료 제44호 - 지정일 : 1985. 8. 5 - 시 대 : 조선시대 - 소재지 : 안동시 임동면 박곡리 산769 이 건물은 1663년(현종 4)에 건립된 의성김씨 지촌 김방걸선생의 종택이...
금역당 사당 및 종가
- 분 류 : 건물 - 지 정 :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24호 - 지정일 : 1973. 8. 31 - 시 대 : 조선시대 - 소재지 : 안동시 송천동 1017 - 소유자 : 배재진 이 건물은 1558년(明宗 13) 황해도 관찰사를 역임...
퇴계종택
이 건물은 퇴계선생의 영손 동암(東巖)공이 한서암 남쪽에 지은 가옥이다. 대를 이어 살아오다 1715년(肅宗 41)에는 추월한수정(秋月寒水亭)을 건축하여 면모를 일신한바 있으나, 10대사손 고계(古溪)공대에 구택의 동남쪽 건너편에 새로 집을 지어 옮겨 살았다. 그러나 ...
전주류씨 무실종택
이 건물은 전주류씨 무실 대종택이다. 무실의 입향조는 전주류씨 시조 완산백 류습공의 6대손 류성선생이다. 무실문중은 퇴계학통으로 학문적 기틀을 마련하고 임진왜란 때 의병장으로 활약한 7대손 기봉 류복기 선생과 문규를 제정한 8대손 도헌 류우잠공이 그 기반을 확립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