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담
풍천면에 있는 구담리가 있는데 그곳은 우물이 아홉개나 된다고 해서 구담이라고 전해진다. 옛날 구담에 가난하여 끼니를 거를 때가 많은 부자(父子)가 살았다. 이 극심한 가뭄에 시달리던 어느 날 부자는 샘을 파기 시작했다. 그러나 물은 나오지 않고 아들 마저 파던 웅덩...
고산정 에 대한 검색 결과입니다.
관광자원 검색결과 (52 / 146 페이지)
구담
풍천면에 있는 구담리가 있는데 그곳은 우물이 아홉개나 된다고 해서 구담이라고 전해진다. 옛날 구담에 가난하여 끼니를 거를 때가 많은 부자(父子)가 살았다. 이 극심한 가뭄에 시달리던 어느 날 부자는 샘을 파기 시작했다. 그러나 물은 나오지 않고 아들 마저 파던 웅덩...
서산서원
조선영조 47년(1771)에 목은(牧隱) 선생의 학덕을 추모하기 위해 목은영당(牧隱影堂)인 서산사(西山祠)를 세웠고, 1976년 사림(士林)의 공의로 서원으로 승격하여 목은 선생을 배향하고 선생의 10대손 수은(睡隱) 이홍조(李弘祚, 1595∼1660) 선생을 종향(從...
안동 조탑동 오층전탑
화강암과 벽돌을 혼용해서 만든 통일신라시대의 5층 전탑이다. 초층 옥개석(屋蓋石)부터는 벽돌로 쌓았으며 그 가운데 당초문(唐草文)을 새긴 것이 섞여 있어서 통일신라시대의 전탑으로 짐작하게 한다. 옥개 받침은 초층부터 9단·8단·7단·6단·3단이며 옥개석에 기와를 입혔던...
안동 소호헌
조선 중종(中宗:재위 1506∼1544) 때의 선비인 함재(涵齋) 서해(徐)가 거처한 집이라고 한다. 건물을 지은 연대는 확실하지 않으나 이명의 다섯째 아들로 청풍군수(淸風郡守)를 지낸 이고(李股)의 분가 주택으로 지은 것을 사위인 서해에게 물려준 집이라고 전해진다. ...
예안향교
조선시대에는 1군(郡)에 하나의 향교(鄕校)를 두었는데 예안향교는 예안현에 설치되었던 향교이다. 처음 건립된 것은 조선 초기이며 선조 34년(1601)에 중수(重修)가 있었고, 영조 21년(1745)에 크게 개수하였다. 경내에는 대성전(大成殿), 명륜당(明倫堂), 전사...
도산서원
분 류 : 서원 지 정 : 사적 제170호 (1969. 5. 28) 시 대 : 조선시대 규 모 : 사적지 324,945㎡, 건물 15동 이 서원은 퇴계 이황(退溪 李滉)선생을 향사(享祀)하는 도산서원이다. 선생은 1561년(명종 16)에...
오천유적지
안동댐 건설시 광산 김시 예안파 소유 문화재를 집단 이전하여 현재는 교육 및 전시공간으로 활용하고 있다. 오천리는 성균생원 김효로(1454~1534) 공이 처음 터를 잡은 이래 광산김씨들이 500여 년을 살아온 마을이다. - 시대구분 . 조선시대 - ...
백운정
- 분 류 : 누(정)·각 - 지 정 : 경상북도문화재자료 제175호 - 지정일 : 1986. 12. 11 - 시 대 : 조선시대 - 규 모 : 2동(정자 3×2칸, 주사 4×4칸) 이 정자는 귀봉(龜峯) 김수일(金守一, 1528∼1583)...
안동 임하동 오층석탑
- 지 정 : 경상북도유형문화재 제180호 (1984. 12. 29) - 소유자 : 국유 - 소재지 : 안동시 임하면 임하리 565 - 규 격 : 총체높이 5.2m - 형태 및 구조 : 화강석탑 이탑은 고려시대에 만들어진 이중기단의 오층석탑으...
안동 상여집
이 건물은 상여와 장례에 쓰이는 용구들을 보관하는 가옥이다. 곳집이라고 불리는 상여집은 초상이 났을 때 마을 사람들이 서로 협조하여 장례를 치르기 위하여 공동으로 조직한 계(契)모임에서 관리하고 있다. 전국에 남아 있는 상여집이 몇 동 되지 않기 때문에 귀중한 자료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