귀암정사
이 건물은 의성김씨 구미리 입향조인 김근(金近)(1597∼1656)의 유덕을 기리기 위해 김근의 6대손인 김굉(1739∼1816)이 1791년(정조 15)에 건립한 의성김씨 오우당파의 문중 사우이다. 안동 일직 귀미에 터전을 잡은 오우당 김근(1579~1656) 선...
고산정 에 대한 검색 결과입니다.
관광자원 검색결과 (53 / 146 페이지)
귀암정사
이 건물은 의성김씨 구미리 입향조인 김근(金近)(1597∼1656)의 유덕을 기리기 위해 김근의 6대손인 김굉(1739∼1816)이 1791년(정조 15)에 건립한 의성김씨 오우당파의 문중 사우이다. 안동 일직 귀미에 터전을 잡은 오우당 김근(1579~1656) 선...
고산서원
분 류 : 서원 지 정 : 경상북도기념물 56호(1985. 8. 5) 시 대 : 조선시대 소재지 : 안동시 남후면 광음리 산10 소유자 : 고산서원 수 량 : 1곽8정 이 서원은 18세기 유학자인 문경공 대산 이상정(文敬公 大山 李象靖)선생...
안동 마령동 기와까치구멍집
이 건물은 남평(南平) 문씨(文氏)의 종가(宗家)로 약 300년전에 지은 것이다. 안동지방의 전형적인 겹집 평면구성을 취하고 있으며 그 예가 매우 드문 기와지붕으로 된 까치구멍집이다. 정면 3칸 측면 2칸으로 중앙앞쪽에 봉당이 있고 그 뒤쪽에 마루가 놓였으며 마루 좌측...
이육사 생가
이 집은 독립투사이며 시인인 육사 이활(1905~1944)선생의 생가이다. 이집은 가옥양식은 홑처마 一자집으로 안채는 맞배지붕이고 사랑채는 팔작지붕이며, 사랑채와 안채의 칸수가 같고, 앞뒤로 一자집만이 평행으로 배치되어 서로 똑같은 공간을 이루고 있는 것이 특이하다. ...
화원군 영정
조선 후기 무신(武臣) 감고당(感顧堂) 권희학(權喜學, 1672∼1742)공의 영정이다. - 규모 . 수량 : 1점 - 시대구분 . 조선시대 - 형태/방법/업적 조선 후기의 무신 감고당 권희학 공의 영정이다. 숙종 23년에 세자 책...
삼태사
고려태조 공신인 김선평(金宣平), 권행(權幸), 장길(張吉) 세분을 일컬어 삼태사(三太師)라고 한다. 삼태사는 안동사람으로서 신라말엽 후백제의 견훤이 경애왕을 죽이자 반드시 왕의 원수를 갚기로 맹세하고 때를 기다렸다. 930년(태조13년) 마침 태조가 이곳에서 견훤과 ...
이황
퇴계의 성은 이, 이름은 황(李滉 : 1501~1570), 자는 경호(景浩), 호는 퇴계(退溪), 도옹(陶翁), 퇴도(退陶), 청량산인(淸凉山人) 등이며, 관향은 진보(眞寶)이다.퇴계는 1501년(연산군 7년) 11월 25일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온혜리(현 노송정 종...
하회별신굿탈놀이
탈놀이의 내용은 지배계층인 양반과 선비의 허위성을 폭로함으로써 지배계층인 양반과 피지배계층인 상민간의 갈등적 관계가 극화되고 여기에 부가하여 중의 파계를 통해 당시 불교의 타락상을 드러내는 것과 피지배계층인 서민들의 삶의 애환을 풍자적으로 그리고 있다. - 유래 하...
안동포 짜기
안동포의 특징은 올이 곱고 색깔이 아름다우며 통풍이 잘되고 땀이 나도 몸에 감기지 않는다. 또한 내구성(耐久性)이 강해 수명도 길어 하절기의 최고급 옷감으로 손꼽힌다. 최근 값싼 중국삼베가 다량 유통되고 있기는 하지만 품질면에서는 아직 현격한 차이가 있어 이러한 장점이...
안동국제탈춤페스티벌
**축제일정 : 2018년 9월 28일 ~ 10월 7일 / 안동탈춤공원, 시내일원 2018년 주제 : 야누스. 축제의 문을 열다** **2017 문화체육관광부 선정 대한민국 글로벌축제** 안동국제탈춤페스티벌은 국·내외 탈춤단체들이 서로의 신명을 함께 느끼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