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태호
"나리 나리 개나리 입에 따다 물고요 병아리떼 종종종 봄나들이 갑니다." 우리에게 너무나 잘 알려진 동요 "봄나들이"의 작곡자가 권태호라는 것을 알고 있는 사람이 얼마나 될까? 또 그가 이곳 안동 출신의 인물이라는 것을 아는 사람이 얼마나 있을까? 소천 권태호는 190...
고산정 에 대한 검색 결과입니다.
관광자원 검색결과 (71 / 146 페이지)
권태호
"나리 나리 개나리 입에 따다 물고요 병아리떼 종종종 봄나들이 갑니다." 우리에게 너무나 잘 알려진 동요 "봄나들이"의 작곡자가 권태호라는 것을 알고 있는 사람이 얼마나 될까? 또 그가 이곳 안동 출신의 인물이라는 것을 아는 사람이 얼마나 있을까? 소천 권태호는 190...
권현섭
권현섭 호는 하산, 본관은 안동이니 안동시 법상동에서 태어난 교육자이다. 어려서 서산 김흥락 선생에서 한문을 배우고 다시 학가산에 들어가 학문에 전념하였다. 선생의 학덕이 조정에 알려져 탁지부에서 벼슬을 하였고, 전남 곡성, 해남 등지에서 군수로 있으면서 선정을 베풀었...
권희학
- 생존연도: 1672~1742 문신. 자는 문중, 본관은 안동, 명형의 아들. 왕세자 책봉 주청사 최석정을 따라 청나라에 다녀와 교련관이 되고, 3진의 첨사등을 지냈다. 1728년 금위영 교련관으로 도순무사 오명항을 따라 이인좌의 난을 평정, 분무공신 3등...
삼삼기 노래
- 문화재분류 : 민요 진보청청 진삼가리 영해영덕 뻗쳐놓고 비비치라 내리치라 울아부지는 관솔패고 우리엄마 밤참하고 우리오바는 관솔놓고 비비치고 내리치고 내삼가러 가는소리 이하촌에 개가짖네 내삼가리 가는소리 영풀비는 소리나네 밤새도록 삼은삼이 한발이고 반발일래
류중영
문신, 자는 언우, 호는 입암, 본관은 풍산, 공작의 아들, 성룡의 아버지시다. 1540년 식년문과에 급제하고 1553년 장령을 거쳤다. 공이 의주목사가 되었을때 기율이 일신하여 성안이 조용하고 강에 따라 복병을 두고 서로 바라보며 근무하게 하고 순군을 두어 왕래하며 ...
김계행
문신, 자는 취사, 호는 보백당, 본관은 안동, 현감 삼근외 아들 1447년 진사가 되고 김종직과 교유, 성주,중주등의 교수를 역임한 후 1480년 식년 문과에 병과로 급제했다. 고령 현감,부수찬등을 지냈고 이로부터 삼사의 벼슬에서 떠나지 않았다. 연산군 때 대사간으로...
상여 소리
- 문화재분류 : 민요 [민요 32]에 이어 보리타작 노래를 권했더니 조금 하다가 마쳤다. 이어서 상여 소리를 들어 보자고 했더니, 이 노래를 부를려면 사전에 준비가 필요하다고 했다.망인이 살아서 고생한 일이나 호강한 일들을 가까운 사람에게 물어서 그 주요 내...
김동삼
문신, 천문학자, 본관은 안동, 고려의 첨의중찬 방경의 후손, 1417년(태종 10) 왕명으로 서한이하 역대보계도를 찬진, 1434년(세종16) 집현전 직제학으로 있을 때 동활자인 갑인자의 주조에 참여, 이 밖에도 세종의 명으로 김조와 함께 간의대·보루각을 만들었다. ...
김방경
김방경 자는 본연, 시호를 충렬, 본관은 안동으로 신라 경순왕의 후예로 태어났으며, 고려 충렬왕때의 명장이다. 16세에 관직에 나가 서북면 병마판관으로 있을때는 몽고병을 맞아 싸웠고, 1263년에는 진도에 침입한 왜구를 물리쳤다. 1270년 강화도에서 장군 배중손이 삼...
김부필
공의 자는 언우요 호는 후조당이오 본관은 광산이며 예안면 오천동 출신으로 관찰사 연의 아들이다. 1516년(중종 11)에 태어나서 1537년(중종 32) 22세에 진사에 뽑히고 참봉을 천수했으며 1577년(선조 10) 62세에 졸했다. 공은 일찍이 가정 교훈을 받고 늦...