류종개
공은 선조때 의병장으로 자는 계유, 본관은 풍산이며 1558년(명 종 13) 고산 빈의 아들로 태어나 1579년(선조 12) 22세에 진사가 되고 1585년(선조 18) 식년문과 시에 병과로 급제하여 정언 전적을 역임하였다. 공은 그 천품이 고결하고 강직하며 주역 읽기...
고산정 에 대한 검색 결과입니다.
관광자원 검색결과 (73 / 146 페이지)
류종개
공은 선조때 의병장으로 자는 계유, 본관은 풍산이며 1558년(명 종 13) 고산 빈의 아들로 태어나 1579년(선조 12) 22세에 진사가 되고 1585년(선조 18) 식년문과 시에 병과로 급제하여 정언 전적을 역임하였다. 공은 그 천품이 고결하고 강직하며 주역 읽기...
배삼익
배삼익 자는 여우, 호는 임연재, 본관은 흥해이며, 이황의 문하에서 수학하였으며, 1558년 생원이 되었고 1564년 식년문과에 급제하였다. 학유를 거쳐 1573년(선조 6년) 홍문관에 등용되었으며 풍기현감· 양양 부사를 지내고 1584년 교리, 이듬해에 사간을 역임하...
배용길
배용길 조선중기의 문신, 자는 명서, 호는 금역당, 장육당, 본관은 흥해, 1585년(선조18년) 성균관에 입학하고 1592년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의병을 일으켜 대장 김해의 휘하에서 부장으로 활약하였다. 1594년 세마에 이어 시직, 부솔을 지내고 1597년 정유재란때...
가신신앙
민간에서 부녀자를 중심으로 전승되어 오는 가신신앙은 과학이나 당위성의 차원을 넘어선 절대자에게 귀착하여 가내 안정과 농사의 풍년을 기원하는 일종의 종교현상이다. 성주(집안의 길흉화복을 관장하는 최고신), 조왕(육아점지 기능과 재산신), 삼신할매(육아를 관장), 용단지(...
객귀 물리기
객귀는 떠돌아 다니는 귀신으로서, 특히 제사음식에 잘 붙어 다닌다고 한다. 객귀들린것 같은 증상을 보이면서 객귀가 들렸는가를 확인하고, 다음에 물리는 양밥을 한다. 객귀들린것을 확인하는 방법으로는 종지에 좁쌀이나 보리쌀을 한 숟가락 넣고 환자 옆에 놓은 다음 할머니가 ...
관모
우리 민족의 생활에 있어서 관모는 중요한 물품이었다. 그래서 예의를 갖추는데 있어서 기본요건은 의관을 정제하는 것이었다. 관모중에서 대표적인 갓은 고려망의 페양립형 갓을 발전시킨 것으로 이것은 초립의 단계를 거쳐 흑립으로 발달되었다. 이 밖에도 사방관, 동파관, 정자관...
안연석
문신. 자는 보천, 호는 보만당, 본관은 순흥, 중현의 아들. 1705(숙종31)년 문과에 급제, 경연관이 되어 페정의 시정과 구민책을 건의하여 실시케 했으며, 양산군수에 이르렀다. 1722년(경종2) 신임사화 때는 김일경등 에게 위협을 받는 세자를 적극 옹호하여 소론...
관모, 장신구
예부터 우리나라 부녀자들은 머리체를 여러가지 모양으로 틀고 그 위에 모자를 씌워 아름답게 장식하였다. 평상시는 땋은머리, 얹은머리, 쪽진머리가 대부분이었으며, 여기에 모양을 내기 위하 여 큰머리, 조짐머리 등 다양한 가체를 사용하였다. 관모는 의례용으로 적관, 화관이 ...
우탁
본관 단양(丹陽). 자 천장(天章) ·탁보(卓甫). 호 백운(白雲) ·단암(丹巖). 시호 문희(文僖). ‘역동선생(易東先生)’이라 불렸다. 문과에 급제, 영해사록(寧海司錄)이 되어 민심을 현혹한 요신(妖神)의 사당(祠堂)을 철폐하였다. 1308년(충선왕 즉위년)...
농기구
농기구는 농사에 이용되는 도구 및 기구로서 주로 인력용과 출력용으로 분류되며 손발의 연장으로 이용되는 것이 많다. 우리나라에서는 조선시대 말까지는 인력중심의 재래식 농기구를 사용하여 왔고, 그밖에 축력을 이용하기도 했으며, 무한한 자연의 힘을 이용하기도 하였다. 이처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