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굉
이굉 자는 심원, 호는 낙포·연생당, 본관은 고성, 1480년(성종 11) 식년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정자가 되고, 1493년 지평이 되었다. 1500년 (연산 6) 집의를 거쳐 개성부 유수가 되었다가 1504년 갑자사화에 김굉필의 일당으로 몰려 관직이 삭탈되었다. 1...
고산정 에 대한 검색 결과입니다.
관광자원 검색결과 (74 / 146 페이지)
이굉
이굉 자는 심원, 호는 낙포·연생당, 본관은 고성, 1480년(성종 11) 식년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정자가 되고, 1493년 지평이 되었다. 1500년 (연산 6) 집의를 거쳐 개성부 유수가 되었다가 1504년 갑자사화에 김굉필의 일당으로 몰려 관직이 삭탈되었다. 1...
이만계
독립운동가. 초명은 만효, 자는 순칙, 호는 유천, 본관은 진보, 휘준의 아들, 휘택에게 입양, 예안 출신. 1879년(고종16) 생원이 되고, 1883년 문과에 급제, 직장·전적·지평을 지냈다. 1894년 부교리겸 동학교수가 되었으나 이듬해 을미사변으로 민비가 살해되...
도자기 제작과 도요지 분포
도자기란 명칭은 도기와 자기를 합친 것으로 이러한 명칭은 기능과 사용재료, 소성온도 그리고 색상에 따라 분류해서 붙이며 통상적으로 이러가지 특징의 이름들을 섞어서 부른다. 청자, 백자 등은 소성온도에 따라 붙인 이름이고, 주병, 대접, 주전자, 연적 등은 사용되어지는 ...
이만도
공은 한말에 문신으로 자는 관필, 호는 향산이며 본관은 진성이다. 1842년(현종 8)에 대사성 휘준의 아들로 태어나 형 휘택에게 입양했다. 예안출신으로 1866년(고종 3) 정시문과에 장원으로 급제하여 전적이 되고, 병조좌랑. 정언을 지낸 후 부친상으로 사직했다. 뒤...
이상동
독립운동가, 자는 건초 호는 만지, 상룡의 동생으로 안동 출신이다. 1895년9고종32) 형 상룡과 함께 의병장 신돌석 휘하에서 싸웠고 1905년(광무 9) 을사조약이 체결되자 대한협회 안동지회에 가입, 구국운동에 헌신했다. 1911년 기독교에 입교, 장로가 도어 교회...
마령동 별신굿
자연의 힘이 인간의 힘보다 위대하다고 생각했던 시절, 조상들은 신을 통해 자신의 정신적 안정과 위안을 얻고 마을의 평온을 기대했다.
이상정
공의 자는 경문, 호는 대산이오 본관은 한산이니 1711년(숙종 37)에 태화의 아들로 태어났다. 외조부 이재의 문인이다. 1735년(영조 11)사마시를 거쳐 증광무과에 급제하여 지평 형조 참의에 올라 사직했다. 정조대왕은 세자로 있을때 부터 이미 공이 유림의 제일인 ...
무속신앙
안동지방의 무속신앙은 모두 신내림을 받아 무당이 된 사람들에 의해 전승되고 있다. 무당이 되기 전에 먼저 신병 또는 무병을 앓아 이것을 고치기 위해 무당에게 갔다가 내림굿을 받고 고쳐서 굿판에 따라다니면서 굿하는 법을 배우는 과정을 거친다. 무당이 되면 집에 신당을 차...
이원
이원 문신, 자는 차산, 호는 용헌, 본관은 고성이며 밀직부사 강의 아들, 정몽주의 문인이다. 1385년 문과에 급제 사복시승을 거쳐 애조좌랑·병조좌랑을 역임했다. 1392년 조선왕조가 개국하자 지평이 되고 1400년(정종 2년) 좌승지에 올라 제2차 왕자의난때 방원을...
이원영
민족의 재건과 기독교 전파에 힘쓴 봉경 이 원영 목사 안동시 금곡동에 위치한 서부교회는 이원영목사가 마지막까지 목사로서 소임을 다하던 곳이다. 이 교회의 비탈에 이원영목사 기념비가 나지막하게 서 있다. 이 기념비에는 ′훌륭한 가문 고귀한 명성 영광스러운 성직 실로 값...