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흘
학자, 자는 탁이, 호는 용담, 본관은 풍천. 박승임·조목·정구의 문인. 1582년(선조 15) 진사시에 합격, 1592년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류종개와 함께 의병을 모집하여 문경싸움에서 많은 적을 죽이고 전옥서 참봉이 되었으나 동서의 당론이 격심하여 국적을 문란하게 하...
고산정 에 대한 검색 결과입니다.
관광자원 검색결과 (76 / 146 페이지)
임흘
학자, 자는 탁이, 호는 용담, 본관은 풍천. 박승임·조목·정구의 문인. 1582년(선조 15) 진사시에 합격, 1592년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류종개와 함께 의병을 모집하여 문경싸움에서 많은 적을 죽이고 전옥서 참봉이 되었으나 동서의 당론이 격심하여 국적을 문란하게 하...
장흥효
학자, 자는 행원, 호는 경당, 본관은 안동, 영가출신, 김성일 류성룡에게 배우고 후에 정구의 문하에서 수학하여 문명이 높았다. 인조때 음보로 창릉참봉에 임명되었으나 부임전에 죽었다. 지평에 추증되고 안동의 경광서원에 제향되었다.
정내성
문신 자는 기서, 호는 사헌, 본관은 천주, 중섭의 아들, 안동출신 1780년(정조 4) 문과에 급제, 전적·과랑 등을 거쳐 1785년 전라도 고사에 임명되었으나 어버이가 연로하므로 사퇴하고 고향에 내려가 인근의 자제들을 훈도했다. 그뒤 장악원 주부·종묘사령 등을 지내...
악기
우리나라의 옛악기는 풍류의 대상이 되기도 했지만 일상생활과 아주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다. 상류계층의 사람들은 옆에서 음악을 즐기며 멋을 부렸으나,서민들은 직접 악기를 다루면서 농업 생산현장을 누볐다. 부농을 기원하면서 지신밟기를 하거나 동임의 안녕을 기원하면 별신굿을...
정사성
문신, 자는 자명, 호는 지헌, 본관은 청주, 17세때부터 이 황의 문하에서 학업을 닦고 24세에 진사시에 합격했으나 대과 보기를 단념하고 학문에만 힘썼다. 1590년(선조 23) 유일로 천거받아 태릉 참봉이 된 뒤 현감을 지냈다. 임진왜란때 의병장 곽재우를 도와 적을...
안동의 기후
안동지역은 사방이 산으로 둘러싸여 있는 분지로서 대륙성 기후의 영향을 받아 비교적 한서의 차가 심한 편이다. 연중 평균기온은 12.3도를 나타내며 1월 평균기온은 24.1도, 최고기온은 33.8도이다. 강슈량은 연중 1042.6m/m로서 겨울강수는 3-4%로 건조기를 ...
구봉령
문신, 자는 경서, 호는 백담, 본관은 능성, 겸의 아들이며, 이황의 문인이다. 1560년(명종15) 별시문과에 급제하여 검열이 되고 홍문관에 등용된 후 문신정시에 장원하고 수찬·병조 좌랑을 거쳐 1567년 사가독서를 했다. 이조참의·충청도관찰사·대사간·부제학· 대사성...
안동의 무속
무속은 민간층의 산 종교로서 생활에 희망을 부여해 주던 우리 민족의 신앙이다. 이러한 민간신앙은 무당에 의해 굿이나 점복으로 행하여져 왔다. 무당은 신의 영력에 의해 내림 굿(신굿)을 받아 무당이 된 강신무와 혈통을 따라서 사제권이 세습되는 세습무가 있다. 안동의 무당...
안동의 지형도
옛부터 택리지를 비롯한 여러 문헌에서는 안동의 지리와 산수의 이상적인 형상에 대하여 격찬을 아끼지 않았다. 이러한 안동의 지형을 살펴보면 태백산에서 서남으로 내여온 줄기가 소백산에 이 르기 전에 수다산을 형성하고 남쪽으로 굽이쳐 문수산을 만들어 힘차게 내려오다가 요성산...
김시현
공은 조국 광복에 불타는 독립운동가로 자는 구화,호는 하구 또는 학우로 본관은 안동이다. 태동공의 아들로 풍산면 현애동에서 1883년(고종 20)에 태어나 택동공에게 입양하였다. 일본 메이지대학 법학부를 졸업하고 3.1운동후 만주에 가서 항일무장운동 단체인 의열단에 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