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덕사
부사직 이필간(李弼幹)공의 위패를 봉안한 사당이다. 묘소는 서울특별시 월계동에 있으며 각심사다. 이 희 동 목조와가 조선중기 이필간(李弼幹:생년 미상-중종9, 1514)
고산정 에 대한 검색 결과입니다.
관광자원 검색결과 (80 / 146 페이지)
경덕사
부사직 이필간(李弼幹)공의 위패를 봉안한 사당이다. 묘소는 서울특별시 월계동에 있으며 각심사다. 이 희 동 목조와가 조선중기 이필간(李弼幹:생년 미상-중종9, 1514)
홍진사의 무덤
때는 이조 중엽 안동시 풍천면 신성동 속칭 납성계에 살던 홍진사 집에는 아들 3형제가 있었다. 큰아들과 둘째 아들은 이미 장가를 들어 고운 자부들을 보았으나 아직 손자들은 없었다. 이제 막내아들의 장가들 일에 집안 대소가에선 마땅한 규수감을 구하는 일로 분분했다. 그런...
경함정
경함정은 계와(溪窩) 임소한(林霄漢)을 추모하기 위해 임치대(林致大)가 1996년에 지은 정자다. 상량문과 기문은 하은 김일대가 찬했다. 3칸 겹집 목조와가로 지어졌다. 임 치 대 목조와가 1996 임소한(林霄漢:철종7, 1856-1931)
도산서원 상덕사 정문 부 정문
문화재 지정여부 - 보물 제211호 이 건물은 退溪 李滉을 봉사하는 도산서원의 상덕사와 정문이다. 이를 둘러싼 석축담장도 함께 지정되었다. 원래 이 담장은 지정 당시는 토축이었으나 도산서원 정비사업때 현재의 석축담으로 바꾸어 놓아 원래의 맛을 잃어버렸다. 강당인 ...
고계산방
조선 후기의 학자인 고계(古溪) 이휘령(李彙寧)공의 정자다. 공이 재세시 집을 지어 거처하셨던 곳으로 약 150여 년의 역사를 간직하고 있다. 현재 정자는 매우 퇴락한 상태로 남아 있다. 최근에 사진에 보이는 대원군이 쓴 ‘고계산방(古溪山房)’ 현판이 분실되고 말았다....
안동 양진당
지정 - 보물 제306호 이 건물은 1600년대 건립된 것으로 추정되는 서애 류성룡(西厓 柳成龍)의 가형(家兄)인 겸암 류운룡(謙庵 柳雲龍)의 종가이다. 하회 북촌을 대표하는 가옥이다. 안채는 임란 때 소실되어 임란 후 다시 지었다 한다. 화재로 손상된 흔적이 안...
곡강정
예안 이씨 곡강정(曲江亭) 이호(李瑚)공의 정자다. 이 헌 춘 목조와가 조선중기 이호(李瑚:명종8, 1553-몰년 미상)
예안이씨 정충 정효각
이 정충정효각은 정충각과 정효각으로 이루어져 있다. 정충각은 예안이씨 이홍인(1525-1594)의병장의 충신정려각이다. 이홍인은 임란때 의병장을 맡아 분전하였으나 1594년 구단지구 잔투에서 전사하였다. 당시 공로는 숨기라는 유언에 따라 전투의 성과나 행적을 남에게...
충효당
지정 - 보물 제414호 이 건물은 서애 류성룡(西厓 柳成龍)의 후손과 문하생들이 그의 유덕을 기리는 뜻에서 1600년대에 지은 가옥이다. 서애의 장자가 임란 후 중수하였고 그 후 증손 류의하(柳宜河)가 중수와 동시에 증축하였다. 증축 부분은 口자형에서 돌출된 사...
마고구마과자
- 재 료 밀가루 300g, 마가루 30g, 달걀 2개, 설탕 70g, 버터 50g, 고구마 100g, 베이킹파우더 5g, 초콜릿 · 소금약간 - 만드는 법 1) 밀가루와 마가루, 베이킹파우더, 소금을 혼합하여 체에 두 번 내린다. 2) 고구마는 껍질을 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