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락정
하락정은 해창 송기식 선생의 강학공간이었던 봉양서숙과 인곡서당을 합해서 봉양서숙 구지(舊址)에다 건립한 정자다. 하락정의 모태가 된 두 강학 공간은 6·25동란 와중에서 없어지고 말았다. 구한말의 학자요 계몽운동가이며 독립지사였던 해창(海窓) 송기식(宋基植)공의 정자...
고산정 에 대한 검색 결과입니다.
관광자원 검색결과 (93 / 146 페이지)
하락정
하락정은 해창 송기식 선생의 강학공간이었던 봉양서숙과 인곡서당을 합해서 봉양서숙 구지(舊址)에다 건립한 정자다. 하락정의 모태가 된 두 강학 공간은 6·25동란 와중에서 없어지고 말았다. 구한말의 학자요 계몽운동가이며 독립지사였던 해창(海窓) 송기식(宋基植)공의 정자...
바다회백화점
☎054-821-7900 활어회
하계정
조선 후기의 학자인 하계 이가순, 복재 이휘준 양 대분의 강학 공간이다. 정자 안에는 하계(霞溪)와 복재(復齋)라는 현판이 붙어 있다. 목조와가 조선후기 이가순(李家淳:영조44, 1768-헌종10, 1844)
태고정
이 정자는 당초 삼당(三塘) 김영(金瑛)공이 서울 청풍계(淸楓溪)에 지어 거처하던 것이다. 정확한 창건 연대는 미상이나, 공이 세상을 떠난 중종23년(1528) 이전임에는 분명하다. 공의 손자 창균 김기보(金箕報)가 안동 풍산 소산(素山)으로 낙향한 이후에는, 공의 종...
침류정
세조 때 병조판서와 대제학을 지낸 야소헌(埜巢軒) 이화(李樺)공의 정자로서 후손들이 중신(重新)한 것이다. 당초 이 정자는 풍산 입향조인 공의 부친 이웅(李雄)과 관련이 있었는데, 풍산 사지(笥池, 현 풍산읍 소산2리 설못)에 지어진 것으로 보이며, 이후 1899년 지...
취미헌
조선 중기의 명신(名臣) 온계(溫溪) 이해(李瀣) 선생(先生)의 고택이다. 이 집에는 흥선대원군의 필적으로 알려진 취미헌(翠微軒) 현판이 게판되어 있다. 집 왼쪽에는 번암 채제공이 지은 신도비 1기가 비각 안에 세워져 있다. 신도비는 고종26년(1889)에 세웠는데 비...
추모당
이 정자는 달성(達城) 서씨(徐氏) 호잠(湖岑:무주무의 옛 이름) 입향조인 갈봉공(葛峰公) 수영(壽永, 1500~1565)의 정자이다. 안동에서 대구 방면 4km 지점인 한티재를 조금 오르면 중앙선 철도 위를 지나는 5번 국도 수하과선교를 만나는 자리에서 동쪽 화산(...
삼보잡탕
☎054-858-6477 전골류
창암정
풍산(豊山) 홍씨(洪氏) 2세조인 홍애(洪崖) 홍간(洪侃)이 동래현령 재임시에 건립한 정자다. 이 정자는 신성포(申城浦) 탑평촌(塔坪村) 서쪽 두암(斗巖) 위에 있다. 당초 건립 시기는 고려조 충렬왕30년(1304) 경으로 추정된다. 이 정자에는 역대로 많은 사람들이 ...
운암신도비 및 재사
광신인 운암(雲巖) 김연(金緣)공의 묘제를 받들기 위한 재사와 순조12년(1812)에 건립한 신도비와 비각이다. 운암 김연은 광산 김시 예안파의 입향조인 농수(聾叟) 김효로(金孝盧:단종2, 1455~중종29, 1534)의 맏아들이며 퇴계의 고제(高弟)인 후조당(後彫堂)...