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동 임하동 동삼층석탑
- 지 정 : 경상북도유형문화재 제105호 (1979. 1. 25) - 소유자 : 국유 - 소재지 : 안동시 임하면 임하리 566-1 - 규 격 : 총높이 3.8m, 1기 - 형태 및 구조 : 화강석재탑 이 탑은 고려시대의 삼층석탑으로 추정되...
고산정 에 대한 검색 결과입니다.
관광자원 검색결과 (1 / 146 페이지)
안동 임하동 동삼층석탑
- 지 정 : 경상북도유형문화재 제105호 (1979. 1. 25) - 소유자 : 국유 - 소재지 : 안동시 임하면 임하리 566-1 - 규 격 : 총높이 3.8m, 1기 - 형태 및 구조 : 화강석재탑 이 탑은 고려시대의 삼층석탑으로 추정되...
광풍정
- 분 류 : 누(정)·각 - 지 정 : 경상북도문화재자료 제322호 - 지정일 : 1996. 12. 5 - 소유자 : 안동장씨 경당공파 종중 - 소재지 : 안동시 서후면 금계리 774 이 건물은 조선 후기의 유명한 성리학자요 김성일ㆍ류성룡...
치헌
이 건물은 국탄 김시공의 셋째 아들인 김영운공이 1785년 분가시 건립된 집이다. "="자형 건물로 정침,외랑, 사랑채 모두 정면·측면을 이루고 있는 박공지붕 홑처마 집이다.평면구성은 남부지방의 일반적인 형태이나 부엌이 오른쪽에 위치한 것이 특징이다. 몸채의 정침(正...
이천서씨열녀비
서씨부인의 절의를 가상히 여겨 나라에서 세운 열녀비. - 유래 이 마을의 향리 김창경은 곤궁한 중에 서씨를 아내로 맞아들였다. 곤궁한 살림에 시부모는 소경과 앉은뱅이 불구였지만 서씨는 남편과 시부모를 극진히 모셨다. 그러나 시집온 지 얼마 안 되어 남편 김씨는 ...
임호서당
운천(雲川) 김용(金涌) 선생을 제향하던 서원이었다. 당초 임천서원(臨川書院) 구지(舊址) 옆에 강당을 세워 운천 선생을 제향했는데, 1981년 현 위치로 이건했다. 현재 임호서당(臨湖書堂)이라는 현판이 강당 내부와 외부에 게판되어 있다. 김 승 태 목조와가 조선 중...
천등산 천등굴
- 문화재분류 : 구비문학 안동시 서후면 태장동에 자리잡고 있는 천등산을 옛적에는 대망산이라 불렀다. 신라 신문왕 2 년에 의상조사가 창건했다는 이곳 봉정사는 의상조사가 수도를 한후 종이로 봉을 만들어서 날렸 더니 학가산을 거쳐 봉정사 자리에 앉기에 그곳이 봉...
두벌 논매기 소리
아이 논매기 소리에 이어 두벌 논매기 소리를 하겠다고 했다. 이 노래는 앞의 노래보다 느릿느릿하게 불렀다. 그만큼 두불(두벌)논매기를 할 때에는 여유가 생기는 셈이다. 논매기하면서 선후창으로 부르는 것이나, 여기서는 조차기씨가 앞소리를 하고 조삼석씨가 뒷소리를 받았다....
행금 소리
이번에는 행금소리를 하겠다고 나섰다. 행금은 바이얼린이라고 했다. 왼쪽손으로 코를 쥐고 오른쪽 손의 인지를 펴서 바이얼린을 켜는 흉내를 내면서 불렀다. 이 노래도 역시 유랑 연예인들이 하는 것을 보고 배웠다고 한다. (말로)행금아 (콧소리로) 오~옹! 행금아...
김돈
문신, 천문학자, 본관은 안동, 고려의 첨의중찬 방경의 후손, 1417년(태종 10) 왕명으로 서한이하 역대보계도를 찬진, 1434년(세종16) 집현전 직제학으로 있을 때 동활자인 갑인자의 주조에 참여, 이 밖에도 세종의 명으로 김조와 함께 간의대·보루각을 만들었다. ...
하위지
하위지 공은 사람됨이 침정 과묵하고 공손하며 예의가 있어 대궐앞을 지날 때면 반드시 말에서 내렸고 비록 비가 와서 질더라고 길을 피하지 않았다. 공의 자는 천장, 중장, 호는 단계·연풍이요, 본관은 진주이다. 1387년(우왕 13) 담의 아들로 태어났다. 1435년...